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올해 2월부터 시행되는 정밀 인슐린자동주입기와 구성품인 인슐린펌프, 전극, 소모성 재료의 지원을 확대하는 조치를 성인에게도 확대할 것을 촉구했다.

연합회는 24일 발표한 성명서에서 전체 1형 당뇨병 환자 중 10%에 해당하는 약 3천명의 소아·청소년 1형당뇨병 환자만이 아닌 90%에 해당하는 약 2만8천명의 19세 이상 성인 환자에게도 적용할 것을 보건복지부에 촉구했다.

보건복지부는 작년 12월 28일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를 개최해 19세 미만 소아·청소년 1형당뇨병 환자 대상으로 그동안 의료비 부담이 커 구입이 어려웠던 정밀 인슐린자동주입기와 구성품인 인슐린펌프, 전극, 소모성 재료(이하, 당뇨관리기기)의 지원을 확대하는 의결을 했다. 올해 2월 1일부터 당뇨관리기기를 각각 기능별 세분화하고, 해당 구성품의 급여 기준액을 신설·증액하고, 환자의 본인부담률을 현행 30%에서 10%로 낮추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24일 보건복지부에 당뇨관리기기 지원을 성인 환자까지 확대할 것을 촉구했다. 사진은 한국메드트로닉 관계자가 최근 열린 미디어세션에서 최신 인공췌장 시스템을 시연하는 모습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24일 보건복지부에 당뇨관리기기 지원을 성인 환자까지 확대할 것을 촉구했다. 사진은 한국메드트로닉 관계자가 최근 열린 미디어세션에서 최신 인공췌장 시스템을 시연하는 모습

이와 같은 정부의 지원 대책이 시행되면 기존 380만 원 넘게 들던 1형당뇨병 환자의 의료비 부담이 45만 원 수준으로 크게 경감된다. 문제는 정부의 당뇨관리기기의 지원을 확대하는 혜택을 전체 1형당뇨병 환자 중 19세 미만 소아·청소년 1형당뇨병 환자만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2023년 6월 30일 기준 1형당뇨병 유효 환자 등록 수는 30,378명이며, 이 중 19세 미만 소아·청소년 환자는 10%에 해당하는 3,013명이고, 19세 이상 성인 환자는 90%에 해당하는 27,365명이다. 전체 1형당뇨병 환자 중 90%가 19세 이상 성인인데 이번 정부의 지원 대책에서 빠져 있다는 점에서 유감스럽다는 것이 연합회 주장이다.

1형 당뇨병은 사람의 몸에서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췌도가 망가져서 기능을 하지 못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소아당뇨’라는 정확하지 않은 병명으로 알려져 19세 미만 소아·청소년기에만 걸리는 질환으로 잘못 인식되어 있지만 전 연령대에서 발병하고 있고 환자의 90%는 19세 이상의 성인이다. 1형 당뇨병은 자가면역질환으로 어느 날 갑자기 발병하고 모든 자가면역질환이 그렇듯이 한번 발병하면 완치되지 않는 질환이다.

1형 당뇨병 환자가 과거에는 혈당 관리에 어려움이 컸으나 당뇨관리기기의 발전으로 혈당 관리의 어려움과 삶의 질이 크게 개선되고 있다. 다만 1형당뇨병은 완치가 되지 않으므로 의료비 관련 경제적 부담과 질환 관리의 어려움은 전 연령층에서 동일하게 발생하고, 19세 이상 성인이 된다고 하여 경제적 부담과 질환 관리가 수월해지는 것이 아니다.

환자단체연합회는 “이러한 1형당뇨병의 특징과 치료법이 10%에 해당하는 약 3천명의 19세 미만 소아·청소년 환자와 나머지 90%에 해당하는 약 2만 8천명의 19세 이상의 성인 환자 간에 차이가 있을 수 없다.”며 “따라서 보건복지부는 사회적 논의와 검토를 추가로 진행해 올해 2월부터 시행되는 당뇨관리기기의 지원 확대 조치를 전체 1형 당뇨병 환자 중 90%에 해당하는 19세 이상 성인 환자에게도 적용하는 조치를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