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간섭 단층촬영을 이용한 심장혈관 스텐트 시술이 유용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용인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김용철ㆍ이오현 교수, 연세의대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허석재 연구원, 전남대병원 순환기내과 정명호 교수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 결과를 스페인심장학회지(Revista Española de Cardiología) 온라인 판 최근호에 논문으로 발표했다.

왼쪽부터 용인세브란스병원 김용철ㆍ이오현 교수, 연세의대 허석재 연구원, 전남대병원 정명호 교수
왼쪽부터 용인세브란스병원 김용철ㆍ이오현 교수, 연세의대 허석재 연구원, 전남대병원 정명호 교수

그에 따르면 광간섭 단층촬영(OCT)과 혈관 내 초음파(IVUS)는 혈관조영술과 함께 추가적으로 심장혈관 내부를 살피는 영상검사이다. 이 두 검사는 급성심근경색을 제외한 안정적인 허혈성 심질환의 스텐트 시술에 활용했을 때 경과 개선에 도움이 된다. 최근 급성심근경색을 대상으로 IVUS를 활용했을 때 사망률과 재시술률이 낮아지는 효과는 밝혀졌다. 그러나 OCT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번 연구는 한국인 심근경색증 등록연구(KAMIR, 책임연구자 정명호) 데이터 가운데 OCT 또는 IVUS를 사용해 스텐트 시술을 받은 5,26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연구 결과 OCT와 IVUS를 이용한 스텐트 시술군에서 1년 내 심장이 원인이 되어 사망하거나 허혈로 인해 재치료가 필요한 경우 등의 ‘주요심장사건’ 발생률은 각각 2.1%와 3.4%로 나타났다.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고령, 주요 심장혈관 위험 인자 보유 여부, 시술의 복잡성과 무관하게 일관된 결과를 보였다.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의 심장혈관 영상검사 이미지. 스텐트 시술 전 혈전에 의해 혈관이 막힌 모습(왼쪽 상단)과 시술 후 막힌 혈관이 뚫린 모습(오른쪽 상단), 성공적인 스텐트 시술의 OCT 이미지(하단)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의 심장혈관 영상검사 이미지. 스텐트 시술 전 혈전에 의해 혈관이 막힌 모습(왼쪽 상단)과 시술 후 막힌 혈관이 뚫린 모습(오른쪽 상단), 성공적인 스텐트 시술의 OCT 이미지(하단)

다만 OCT 사용률은 5% 미만으로 IVUS 사용률이 20% 이상인 것과 비교해 매우 낮았다. 연구팀은 OCT 사용률이 낮은 이유로 사용상의 까다로움과 숙련도 높은 의료진의 부족 등을 들었다. 실제로 OCT 이용을 위해서는 조영제를 추가로 사용해야 하고 급성심근경색 환자 중에는 관상동맥 혈류 흐름이 느리거나 막혀 있는 경우가 많아 사용이 쉽지 않다.

이오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급성심근경색과 같은 고위험 환자군에서 심장혈관 내 영상검사의 활용이 높아지고 심장혈관 스텐트 시술 관련 치료 지침이 개선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용철 교수는 “혈관조영술만을 이용한 시술 시 1년 내 주요심장사건 발생률은 약 7%로 알려졌는데, OCT와 IVUS를 이용 시 이를 유의하게 낮출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앞으로 연구를 통해 심장혈관 내 영상검사가 다양한 심장질환에 유용하다는 것을 밝히겠다”고 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