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촬영술 검사로 확인한 유방 밀도로 여성의 심혈관질환 발병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강북삼성병원 장유수 교수
강북삼성병원 장유수 교수

강북삼성병원 헬스케어데이터센터 류승호ㆍ장유수 교수와 한양대학교 김소연 연구원, 박보영ㆍ마이트랜 교수 공동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하여 2009년~2010년 사이 국가 암 검진으로 유방촬영술 검사를 받은 40세 이상 여성 426만8,579명을 대상으로 10년간 추적 분석을 실시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Atherosclersis 최근호에 논문으로 발표됐다.

그에 따르면 연구팀은 연령, 성별, 총콜레스테롤, 고밀도 콜레스테롤, 수축기혈압, 흡연 습관 등 여섯 가지 관상동맥 위험 요소를 기반으로 개인의 10년 뒤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추정하는 점수인 심혈관질환 위험점수에(Framingham Risk Score, FRS)에 따라 대상자를 10년 후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낮은 그룹(심혈관질환 발생 위험 <5%) ▲중간 그룹(발생 위험 5%≤<10%) ▲높은 그룹(발생 위험≥10%) 등으로 분류했다.

또 국가 암 검진에서 유방촬영술 유방 밀도에 따라 ▲1형: 거의 대부분 지방(실질 <25%) ▲2형: 섬유선조직이 흩어진 경우(실질 25-50%) ▲3형: 치밀도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실질 51-75%) ▲4형: 매우 치밀(실질 >75%) 등으로 분류했다.

분석 결과 전체 그룹의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는 유방 밀도가 매우 치밀한 4형과 비교하여 치밀도가 균일하지 않은 3형의 경우 1.12배, 섬유선조직이 흩어진 2형의 경우 1.19배, 거의 대부분 지방인 1형의 경우 1.37배 증가하여 유방 밀도가 낮을수록 심혈관질환 발생위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북삼성병원 장유수 교수는 “여성의 10년 뒤의 심혈관질환을 예측하기 위해 기존에 잘 알려진 도구(FRS)만 활용하는 것보다 유방촬영술을 통해 확인한 유방 밀도 정보를 추가로 활용했을 때 예측력이 향상됐다”며 “특히 저위험군 여성에서 예측력이 가장 높았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장 교수는 “국가 암 검진 프로그램에서도 유방촬영술은 40세부터 2년마다 유방 촬영술을 권고하고 있어, 측정되는 유방촬영술의 정보를 통해 추가로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 예측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한국연구재단과 정보통신기획평가원 및 한양대학교의 일부 지원으로 수행됐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