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성 위암 환자에서 항생제 노출이 면역항암제 치료 성적을 저하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세암병원 위암센터 종양내과 정민규ㆍ김창곤 교수와 강남세브란스병원 종양내과 정희철 교수, 연세대 의대 병리학교실 신수진 교수, 카이스트 이정석 교수ㆍ고준영 박사, 한국식품연구원 남영도 교수ㆍ신지희 박사 등의 연구팀은 진행성 위암 환자에서 면역항암제 치료를 받기 전 항생제에 노출될 경우 무진행 생존율과 전체 생존율이 각각 65%, 55% 저하된다고 29일 밝혔다.

왼쪽부터 연세암병원 정민규ㆍ김창곤 교수, 강남세브란스병원 정희철ㆍ신수진 교수
왼쪽부터 연세암병원 정민규ㆍ김창곤 교수, 강남세브란스병원 정희철ㆍ신수진 교수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Cell Reports Medicine 최신호에 논문으로 발표됐다.

그에 따르면 최근 위암 치료 분야에서 옵디보, 키트루다 등 면역 항암제가 개발되면서 위암 환자의 전체적인 생존율이 증가했다. 하지만 면역 항암제의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환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치료법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2014년 1월부터 2021년 7월까지 연세암병원과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면역 항암제를 투약받은 진행성 위암 환자 253명을 대상으로 치료 성적을 분석하여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분석했다.

그 결과 면역 항암제를 투약받기 전 28일 이내에 항생제에 노출된 환자들에서 무진행 생존율과 전체 생존율이 항생제에 노출되지 않은 환자군에 비해 각각 65%, 55%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반면 세포독성 항암제를 투약받은 환자들에서는 투약 전 28일 이내에 항생제 노출과 치료 성적은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추가적으로 연구팀은 환자들의 혈액과 분변 시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면역 항암제 투약 이전 항생제에 노출된 환자군에서 장내 미생물총의 다양성 감소와 암세포에 대항하는 T세포의 기능 저하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장내 미생물총의 다양성과 순환 T세포의 기능 저하 정도가 면역 항암제 투약에 따른 치료 효과와 생존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임을 규명했다.

정민규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위암 환자의 면역 항암제 치료 전 항생제 노출력이 치료 성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면서 “향후 환자 치료에 있어 개인 특성을 고려해 보다 향상된 치료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