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전증 치료제 토피라메이트4/L의 혈중농도만으로 충분한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는 세계뇌전증연맹 권고농도보다 최대 5분의 1 낮은 수치다.

특히 혈중농도가 6.5/L 이상일 경우 부작용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토피라메이트만으로 뇌전증 치료 효과가 불충분하면 약제를 증량하기보다 다른 항경련제를 병용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이다.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신경과 주건ㆍ이상건 교수, 임상약리학과 장인진ㆍ유경상 교수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신경과 주건ㆍ이상건 교수, 임상약리학과 장인진ㆍ유경상 교수

서울대병원 신경과 주건이상건 교수(1저자 이설아 전공의, 김현철 박사과정, 장윤혁 임상강사)와 임상약리학과 장인진유경상 교수 공동 연구팀이 2017~2022년 서울대병원을 방문한 389명의 뇌전증 환자를 대상으로 토피라메이트의 적정 혈중농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신경과학회가 발행하는 Annals of Clinical and Translational Neurology 최신호에 논문으로 발표됐다.

그에 따르면 뇌전증의 보편적인 치료법은 항경련제를 복용하는 것이다. 토피라메이트는 1996FDA 승인된 이래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는 2세대 항경련제이다. 고용량을 복용하면 인지기능저하, 어지럼증, 체중감소, 실조증 등 부작용이 생길 수 있어 사용 시 뇌전증 전문가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세계뇌전증연맹은 뇌전증 치료를 위한 토피라메이트 혈중농도를 ‘5~20/L’로 권고하고 있는데, 권고에 맞춰 사용해도 부작용을 호소하는 환자가 많아 적정 혈중농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에 연구팀은 토피라메이트를 처방받은 뇌전증 환자 389명을 대상으로 토피라메이트 혈중농도와 항경련 효과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의 94.4%(371)에서 경련 증상이 절반 이상 감소했다. 이처럼 충분한 항경련 효과를 보인 환자들의 토피라메이트 평균 혈중농도는 4/L였다.

즉 토피라메이트 기존 권고농도(5~20/L)1/5 수준인 ‘4/L’만으로도 충분한 경련 조절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무리한 증량은 불필요하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반면 토피라메이트 혈중농도가 6.5/L 이상일 경우 실조증(ataxia)’ 부작용 발생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실조증은 신체 부위 간 상호작용 장애로 인해 동작이 서투르고 섬세한 움직임을 할 수 없는 신경학적 증상이다.

추가로 연구팀은 토피라메이트 단일 약제만 처방받고 충분한 항경련 효과를 보인 환자를 무경련군(39)’과 견딜 수 있는 수준의 잔여 경련이 있는 내약성 경련군(13)’으로 나누어 20234월까지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무경련군 및 내약성 경련군에서 약 7.5년 이내에 3개 이상의 항경련제를 처방받는 환자 비율은 각각 7.7%, 54.8%, 내약성 경련군이 크게 높았다. 내약성 경련군은 약물 저항성이 큰 난치성 뇌전증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혈중농도 4/L로 조절되지 않는 뇌전증 환자의 경우, 토피라메이트를 증량시키기보다 새로운 뇌전증 약제를 추가하는 것이 더 효과적으로 경련을 조절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신경과 주건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많은 뇌전증 환자가 사용하고 있는 토피라메이트 약제의 무리한 증량이 불필요함을 확인했다혈중농도 6.5/L 미만으로 사용 시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은 향후 새로운 뇌전증 진료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