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기 위암인 4기 단계에서 3세대 항암제인 면역관문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 ICI)의 치료 효과를 높이는 새로운 방법이 제시됐다.

아주대병원 위장관외과 허훈 교수팀(이다경 박사 후 연구원, 김태훈 대학원생)은 현재 대표적인 3세대 항암제인 면역관문억제제에 내성을 보이는 위암에서 ‘GAS6 리간드에 의한 AXL 수용체의 활성화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아주대병원 허훈 교수, 이다경 박사 후 연구원, 김태훈 대학원생
왼쪽부터 아주대병원 허훈 교수, 이다경 박사 후 연구원, 김태훈 대학원생

또 동종이식 마우스 모델에서 면역관문억제제인 Anti-PD-1과 함께 GAS6·AXL 특이적 억제제 병용요법을 시행한 결과, 종양 감소 및 종양 내 면역세포의 침투가 증가하면서 치료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고 했다.

이러한 단백질 GAS6을 유전적으로 억제시킨 위암 세포주에서 면역반응 억제와 관련된 유전자 발현의 감소가 확인됐으며, 이 세포를 이용해 제작한 동종이식 마우스 모델에서 종양 내 면역세포들의 침투 증가를 볼 수 있었다.

, GAS6 리간드에 의한 AXL 활성화가 위암 종양 내 면역 반응 억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GAS6·AXL 신호 전달 경로가 면역관문억제제에 반응하지 않는 주요 내성 기전일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위암 4기의 경우 1세대 항암제인 화학항암제를 거쳐 2세대 표적항암제로 환자의 예후를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는 2~3개월 정도의 생존율 향상으로, 3세대 항암제인 면역관문억제제에 기대를 갖고 많은 연구와 임상시험이 이뤄지고 있다.

면역관문억제제는 현재 폐암흑색종 환자에 활발히 사용하고 있고, 위암의 경우 연구마다 차이나는 반응을 보여 아직 1차 치료제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허훈 교수는 면역관문억제제에 치료 내성을 보인 동종이식 마우스 모델에서 GAS6·AXL 신호 전달을 억제하는 약제와 면역관문억제제 병용요법을 통해 종양 감소 등의 의미 있는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 그는 이번 연구가 위암 4기에서 3세대 면역요법의 성공률을 높이는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국연구재단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과 중점연구소지원사업 지원으로 수행된 이 연구의 결과는 국제학술지 Life Sciences 11월호에 논문으로 발표됐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