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뇌졸중’ 발병 연령대가 국내에서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치료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예후는 그대로거나 악화되고 있다고 한다.

분당서울대병원 배희준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배희준 교수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배희준 교수 연구팀(제1저자 인하대병원 김종욱 교수)은 다기관 뇌졸중 코호트 연구(CRCS-K)를 통해 2008년부터 2019년까지 12년 동안 전국 17개 병원에서 모집한 18-50세 사이의 뇌졸중 환자 7,050명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뇌졸중학회지 Stroke 최근호에 논문으로 발표됐다.

그에 따르면 ‘젊은 뇌졸중’으로 조기발생 뇌졸중은 18세에서 50세 사이에 발생하는 뇌졸중이다. 전체 뇌졸중 환자 중 약 10~15%를 차지한다. 젊은 환자들은 뇌졸중에 따른 후유장애를 안고 평생을 살아야하기 때문에 기대여명이 짧은 고령에 비해 질병부담도 1.6배 이상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이러한 젊은 뇌졸중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대규모 코호트 연구를 실시하고 젊은 뇌졸중의 평균 발병 연령이 지난 12년 동안 43.6세에서 42.9세로 낮아졌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여성 뇌졸중 환자에서 18~30세 비중이 6.5%(2008~2010년)에서 10.2%(2018~2019년)로 대폭 증가하면서 남성이 동기간 4.1%에서 5.5%로 증가한 것과 대비됐다.

더구나 문제는 발병률이 가파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치료 성적은 큰 변화가 없었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혈전용해제 투여율, 혈전제거술 시행률, 스타틴 투여율, 복합항혈전제 사용률 등 최신 진료 지침에서 요구하는 치료 지표는 좋아졌지만, 사망률이나 기능적 회복률과 같은 치료 결과 지표들은 변동이 없었던 것이다. 오히려 1년 내 재발률은 2011~2013년 4.1% 수준에서 2017~2019년 5.5%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연구팀은 예후가 개선되지 않는 이유로 혈관재개통치료 지표 개선의 수혜를 받을 수 있는 환자가 전체의 20%에 불과하다는 점, 증상 발견 후 병원 도착까지 시간이 여전히 8.0시간(2008년 8.4년)으로 큰 변화가 없다는 점을 꼽았다. 뇌졸중은 빨리 치료할수록 뇌 손상을 줄일 수 있는데, 12년 동안 병원 이송까지 걸리는 시간을 거의 단축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또 뇌졸중을 유발하는 고혈압, 당뇨병, 부정맥 등 원인질환에 대한 인지율과 치료율이 그대로거나 악화된 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됐다. 젊은 여성에서 흡연율 증가도 거론됐다.

배희준 교수는 “젊은 연령에서도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며 “뇌졸중 위험을 높이는 원인 질환을 앓고 있는지 미리 파악하고 관리해야 하며, 빠르게 치료 가능한 병원을 찾을 수 있도록 응급의료 시스템을 정비하고 국민들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밝혔다.

또 배 교수는 “심인성 색전증 등 일부 뇌졸중에서는 항응고제를 사용해야 하는데, 관련 연구와 치료 지침 마련도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는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