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보다 노동과 생업에 더 많이 종사하는 농촌 지역 여성 노인이 도시 여성 노인에 비해 더욱 저하된 척추 기능을 갖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보라매병원 이상윤(왼쪽), 김동현 교수
보라매병원 이상윤(왼쪽), 김동현 교수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재활의학과 이상윤 교수와 영상의학과 김동현 교수 연구팀은 서울대학교 노화고령사회연구소의 지원을 받아 도시와 농촌에 각각 거주하는 노인 여성의 척추 건강과 근감소증, 노동과 운동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한 연구 시행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Rural and Remote Health 최근호에 논문으로 발표됐다.

그에 따르면 연구팀은 전북 순창군에 거주하는 70세 이상 노인과 성별 및 연령이 매칭되는 서울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직업상태 및 운동참여 정도를 조사했다.

또 척추 컴퓨터 단층 촬영을 통해 대상자의 요추 신전근을 3차원 분석하고, 척추 및 신체 운동 능력을 평가했다.

그 결과 농촌의 노인이 도시의 노인에 비해 단순 노동 및 농어업에 더 높은 비율로 종사하고 있었다. 반면 운동 참여율에서는 정반대 결과가 나타났는데, 유형에 관계없는 운동 참여율은 농촌 여성(60%)이 도시 여성(92%)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척추 기능 평가에서도 척추 안정화와 연관된 등척성 체간 신전근력이 도시 노인에 비해 농촌 노인이 더 작았으며, 허리 기능장애 점수도 농촌 노인이 더 높았다.

이러한 척추 기능의 차이는 궁극적으로 척추 만곡 정도와도 연관이 있었는데, 도시 노인보다 농촌 노인이 요추가 더 많이 굽어져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즉 운동보다 노동과 생업 활동에 더 많이 참여하는 농촌 지역의 노인에서 척추 기능이 상대적으로 더 저하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도시 지역이 여가 활동이나 스포츠 활동을 영위할 수 있는 인프라가 더 좋기 때문에 노년층의 관심도가 높은 반면, 농촌 지역의 경우 농업, 임업, 어업, 단순 노동 분야의 취업률이 높아 근골격계 질환에 더 취약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상윤 교수는 “농촌지역 노인은 도시지역 노인에 비해 병원 이용률과 물리치료 처방률도 유의하게 낮았다"며 ”이처럼 농어촌 지역에 거주하는 노년층에게 의료복지 인프라의 차이가 만성질환과 퇴행성 척추 질환의 조기 진단과 치료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또 이 교수는 “노년층의 척추 건강와 운동습관 지원을 위한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