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에 고혈압이나 당뇨를 동반한 고위험군에서도 스텐트 삽입 시술 후 관상동맥질환 재발 방지 및 출혈 부작용 감소에서 ‘클로피도그렐 단일 항혈소판제 요법’이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환자의 임상 위험에 관계없이 클로피도그렐 복용군은 아스피린 복용군보다 임상 사건 발생 위험이 일관되게 낮았다는 것이 이번 연구 결과의 골자이다.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김효수, 박경우, 강지훈 교수, 양석훈 임상강사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김효수, 박경우, 강지훈 교수, 양석훈 임상강사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연구팀(김효수ㆍ박경우ㆍ강지훈 교수, 양석훈 임상강사) 연구팀은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로서 약물용출 스텐트를 삽입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ㆍ허혈ㆍ출혈 위험에 따라 두 가지 단일 항혈소판제(클로피도그렐 및 아스피린) 요법의 임상 사건 발생빈도를 비교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심장학회지(JACC) 최근호에 논문으로 발표됐다.

그에 따르면 연구팀은 지난 2021년 대규모 무작위분석 연구(HOST-EXAM)를 통해 클로피도그렐이 아스피린에 비해 단일 항혈소판제로서 우수하다고 보고한 바 있다. 하지만 최근 증가한 고령ㆍ고혈압ㆍ당뇨 등이 동반된 고위험 환자에서도 동일하게 클로피도그렐 단일 요법이 우수한지는 알려진 바 없었다.

이에 연구팀은 선행 연구(HOST-EXAM)에 등재된 환자 중 5,403명을 위험도에 따라 분류하고 2년간 추적 관찰하여 클로피도그렐군과 아스피린군의 1차 복합 종점인 임상 사건(사망+심근경색+뇌졸중+급성 관상동맥증후군+주요출혈) 발생률을 비교했다.

모든 환자는 관상동맥 약물용출 스텐트를 삽입한 후 6~18개월 동안 이중 항혈소판제 복용 중 임상 사건이 없었다. 이후 클로피도그렐군과 아스피린군에 1:1로 무작위 배정돼 24개월간 서로 다른 단일 항혈소판제를 복용했다.

임상 위험에 따른 아스피린군 및 클로피도그렐군의 예후 비교
임상 위험에 따른 아스피린군 및 클로피도그렐군의 예후 비교

그 결과 추적관찰 시점의 임상 사건 발생률은 고임상위험군에서 클로피도그렐 및 아스피린 투약 환자가 각각 12.5%, 8.2%였고, 저임상위험군에서 각각 6.6%, 5.1%였다. 고허혈위험군에서는 아스피린 및 클로피도그렐 투약 환자의 임상 사건 발생률이 각각 6.9%, 4.7%였고, 고출혈위험군에서는 각각 8.2%, 6.2%였다.

즉 환자의 임상ㆍ허혈ㆍ출혈 위험도에 관계없이 관상동맥 스텐트 삽입 시술 후 재발 방지 목적으로 투약하는 단일 항혈소판제로서 클로피도그렐이 아스피린보다 우수한 효과를 가졌다는 것이다.

박경우 교수는 “최근 국제 가이드라인은 관상동맥 중재술 후 환자의 다양한 임상적 위험도에 따라 개별화된 치료 접근을 강조하고 있다”며 “개별 위험도와 관계없이 클로피도그렐 단독 요법이 심혈관질환 2차 예방에 유리하다는 사실을 확인한 이번 연구는 환자 예후를 향상할 뿐 아니라 진료 가이드라인을 개선하는 객관적 근거가 될 것”이라고 박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