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희귀질환센터(센터장 채종희)가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 첫 환자 등록을 마쳤다.

이 사업은 희귀질환자의 임상 및 유전자 데이터를 수집해 질병의 원인을 규명하고 치료를 위한 연구를 시작하는 국가사업이다.

▲ 서울대병원 희귀질환센터 채종희 센터장이 김 군의 보호자 이 씨에게 이번 사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업의 핵심은 희귀질환자 모집이다. 조건에 맞는 희귀질환 환자 데이터가 많이 모일수록 향후 원인규명과 치료제 개발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전국 16개 희귀질환 협력기관의 중앙지원센터로서 환자 모집을 총괄, 조건에 부합하는 환자를 꼼꼼하게 선별해 사업의 기초를 다진다.

서울대병원에서는 지난 6월30일 첫 환자 등록이 이뤄졌다. 김 군(4)은 2017년 근육 이상으로 임상 소견이 듀센형 근육병(DMD)과 일치했다. 다만, 기존 제도권 내 유전자 검사에서는 듀센형 근육병을 발생시키는 돌연변이 위치를 찾을 수 없었다.

이처럼 김 군(4)은 ‘유전자 이상 및 유전자 관련 배경이 강력히 의심되는 희귀질환으로 판단되고, 기존 제도권 내에서 진단을 위한 1, 2차 유전자 검사를 시행했으나 음성으로 확인된 경우’로 희귀질환자 모집조건에 부합했다.

이번 시범사업에 참여할 경우, 유전자 전체를 검사하는 전장유전체분석(WGS)을 거쳐 진단참고용 보고서를 발급받는다. 질병 원인 규명의 기회가 추가로 제공돼 추후 진료에도 도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채종희 센터장은 “희귀질환은 진단도 어렵고 치료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국가적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며, “총 인구의 5~10%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희귀질환자의 소중한 임상 및 유전 정보를 빅데이터로 구축하면 새로운 원인 유전자를 찾아내는 등 치료 단서를 찾을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한편, 희귀질환자 참여 문의는 16개 희귀질환 협력기관(서울대병원, 인하대병원, 아주대병원, 충남대병원, 충북대병원, 칠곡경북대병원, 인제대 부산백병원, 양산부산대병원, 화순전남대병원, 전북대병원, 제주한라병원,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서울성모병원, 분당서울대병원)과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사무국(043-719-6816)을 통해 이뤄진다.

참여 가능한 희귀질환자는 ‘유전자 이상 및 유전자 관련 배경이 강력히 의심되는 희귀질환자’로 희귀질환 협력기관에 내원해 진료받은 후, 전문 의료진이 가능 여부를 최종 판단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