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용석 교수

 심방세동과 뇌경색 발생위험을 높이는 ‘승모판협착증’ 환자들의 경우 3명 중 2명이 심방세동을 동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심뇌혈관병원 오용석 교수(교신저자)와 의정부성모병원 순환기내과 김주연 교수(제1저자)팀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의료빅데이터를 이용해 국내 승모판협착증의 10년간 유병률, 발생률, 치료 및 예후를 분석한 결과, 승모판 협착증 발생률이 급격한 감소추세를 보인 반면, 뇌경색 발생률은 감소하지 않고 정체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7~2016년 승모판협착증 환자 4만2075명을 분석한 결과, 66.1%(2만7824명)가 심방세동을 동반하고 있었다. 10만명 당 승모판협착증 발생률은 2008년 10.3명에서 2016년 3.6명으로 급격히 감소했다.

심방세동을 동반한 환자의 항응고제 치료는 2008년 58.4%에서 2016년 83.1%로 늘어났다. 항응고제는 아직까지 와파린 등과 같은 비타민K 길항제 경구용 항응고제만 승모판협착증을 동반한 심방세동에서 인정되고 있다. 항응고제나 항혈소판제 등의 치료를 받지 않는 환자는 2008년 23.7%에서 2016년 6.3%로 감소했다. 이는 심방세동을 동반한 승모판협착증 환자에게 항응고제 치료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뇌경색 발생 위험률은 줄어들지 않았다. 승모판협착증 환자 중 6965명(16.5%)에게 혈전 색전증이 나타났으며 이중 1606명(3.8%)은 두개내 출혈이 있었다. 승모판협착증 환자 중 허혈성 뇌졸중 및 전신 색전증은 심방세동을 동반한 경우 2008년 2.19%에서 2016년 2.26%로, 심방세동을 동반하지 않은 경우(각각 0.26%, 0.31%)보다 높았다. 두개내 출혈은 심방세동을 동반한 경우 2008년 0.43%에서 2016년 0.72%로 늘어나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뇌경색 예방 치료법을 확립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오용석 교수는 “기존의 와파린 등의 비타민K 길항제만으로는 승모판협착증에서 발생한 심방세동에 의한 뇌졸중과 두개내 출혈을 예방하는 기본적 치료법으로는 부족한 점이 많다”며 “승모판협착증이 없는 심방세동 환자에서 뇌졸중, 두개내 출혈의 감소 효과가 와파린보다 우월한 비-비타민K 길항 항응고제(NOAC)를 이용한 치료법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의학저널 심장학(BMJ Journals Heart) 2월호에 게재됐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