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년-2027년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에 따른 건강보험지출

-최근 3년간(2014년-2016년) 1인당 의료비 증가율 및 해당연도 인구 증가율을 고려하여 의료비 추계-국민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 이전의 보장률이 유지되는 경우(기준선)의 보장률은 2016년 보장률인 62.6%를 적용한 결과임.-국민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에 따른 국민건강보험 급여비와 관리운영비를 포함한 금액-출처: 국회예산정책처 (김승희 의원실 재정리)

보장률 70% 달성과 유지를 위해선 2018년부터 2022년까지 35조1000억원이 추가 소요돼야 한다는 추계가 나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승희 의원(자유한국당)은 15일 국회예산정책처로부터 제출받은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에 따른 건강보험 추가재정소요’ 추계결과를 공개하고, “차기정부 임기 기간에도 57조7000억원이 추가로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김승희 의원실이 국회예산정책처에 보장률 70% 달성 및 유지를 위해 소요되는 추가재정의 규모를 의뢰한 결과. 이에 따라 문재인 정부가 무리한 사업추진으로 차기정부에 부담을 떠넘기고 있다는 논란이 지속될 전망이다.

추계자료에 따르면, 2022년까지 국민건강보험 보장률 70% 달성을 위해 5년간 총 385조8000억원이 소요돼, 문케어가 시행되지 않았을 경우 350조7000억원보다 35조1000억원의 차이가 발생한다.

차기정부 임기 기간인 2023년부터 2027년까지는 보장률 70% 유지를 위해 5년간 총 557조6000억원이 소요되며, 이는 문케어가 시행되지 않았을 경우에 소요되는 499조9000억원보다 57조7000억원 많은 규모다.

국회예산정책처는 2017년 9월, 2018년-2022년 추가재정소요 규모를 30조3000억원, 2023년-2027년 추가재정소요 규모를 52조5000억원으로 추계한 바 있다. 이번 추계에서 현 정부와 차기정부가 추가로 부담해야 되는 재정규모도 각각 4조8000억원, 5조2000억원 증가한 것.

김승희 의원은 “올해 추계는 지난해 추계보다도 현 정부 추가 부담의 경우 4조8000억원, 차기 정부 추가 부담은 5조2000억원 더 늘었다"며 "문재인 정부가 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하면서 차기정부에 부담을 떠넘기고 있다”고 지적했다.국회예산정책처는 이번 국민건강보험 추가재정소요를 추계함에 있어 ▴최근 3년간(2014년-2016년) 1인당 의료비 증가율 및 해당연도 인구 증가율을 고려한 비율 ▴국민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 이전의 보장률이 유지되는 경우(기준선)의 보장률은 2016년 보장률인 62.6%를 적용하고, ▴국가재정으로 운영하는 의료급여는 분석 대상에 포함하지 않았다.

 

-최근 3년간(2014년-2016년) 1인당 의료비 증가율 및 해당연도 인구 증가율을 고려하여 의료비 추계

-국민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 이전의 보장률이 유지되는 경우(기준선)의 보장률은 2016년 보장률인 62.6%를 적용한 결과임.

-국민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대책에 따른 국민건강보험 급여비와 관리운영비를 포함한 금액

-출처: 국회예산정책처 (김승희 의원실 재정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