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해 앞으로의 제약산업의 방향을 제시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한국제약바오이협회(회장 원희목)는 24일 협회 오픈이노베이션플라자 K홀에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제약산업’을 주제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원희목 회장은 “정부 100대 과제에 미래형 신사업으로 제약·바오이산업이 포함된 것은 제약산업이 4차산업 혁명을 주도하는 대표적 산업이라는 것에 의미가 있다”며 기쁨을 표했다.
 
이어 “바이오의약품은 상당히 기대가 되는 미래 분야라고 생각하고 우리 업계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기 시작했다”며 “그런 맥락에서 강수형 동아ST 부회장을 바이오담당 비상근 부회장으로 초빙했고, 최주현 브릿지바이오 공동창업자와 허경화 IMS헬스코리아 전 대표, 배영우 아이메디신 CEO를 비상근 임원으로 영업했다"며 최근 임원들은 영입한 배경에 대해 설명하고 간담회를 진행했다. 
 
간담회에선 먼저 배영우 R&D 정책위원회 4차산업 비상근 전문의위원이 보건의료 빅데이터 산업계 개방과 인공지능 신약개발 지원센터에 대한 정부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베 위원은 “신약 개발 분야는 대표적인 고위험, 고수익 분야로 오랜 시간과 큰 규모의 투자에도 불구하고 기술적 구현 가능성조차 가늠하기 아려울 정도로 불확실성이 높으며 뿐만 아니라 신약개발에 성공한다고 해도 경제적 성공 가능성을 담보하기 어렵다”며 “이런 상황에서 인공지능의 활용은 필연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인공지능을 신약개발에 활용하면 의약품 특성 때문에 100% 실험을 배제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모든 경우를 다 실험하고 증명해야 하는 기존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연구 방식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하며 “또한 인공지능을 통해 방대한 데이터를 취합하고 분석함으로써 임상시험을 최적화 시키고 부작용이나 작용기전을 예측하고 분석하는 등 신약개발에서 필요한 과정이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인공지능 활용이 필연적으로 되면서 글로벌 대형 제약사들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신약개발에 착수했다.
 
이처럼 글로벌 제약사들이 인공지능을 이용한 신약개발을 먼저 시작하고 있는 만큼 혁신형 신약개발을 위한 생태계 조기 조성 및 국내 제약업계의 신약탐색 분야에서의 인적, 시간적, 재정적 장벽을 짧은 시간에 극복할 수 있는 기회로 인공지능을 활용해야 한다고 말하며 무엇보다 상용화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인공지능 플랫폼을 활용해 국내 제약사들이 공용으로 인공지능을 사용할 수 있는 인프라가 필요하며, 더불어 이를 위한 보건의료 빅데이터 산업계 개방과 인공지능 신약개발 지원센터에 대한 정부지원이 절실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허경화 국제담당 비상근 부회장 ‘글로벌 제약시장은 한국제약산업의 새로운 성장의 축’이라는 주제로 국내제약산업이 가야할 방향을 모색했다.
 
허 부회장에 따르면 글로벌 제약시장은 우리나라 시장에 60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조 시장을 형성하고 있지만, 글로벌 제약시장은 1250조 정도이다. 또한 글로벌 제약시장은 향후 5년간 4~7% 성장해 약 1700조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를 위한 협회의 실천방안으로 허 부회장은 ‘선진시장 글로벌 사업화 역량 강화 및 신규 파머징 시장 진출 가속화’와 ‘해외 네트워킹 구축을 통한 글로벌 진출 촉매제 역할’, ‘국제 단체와 소통·협력을 통한 글로벌 진출 활조로 역할’을 강조했다.
 
선진시장 글로벌 사업화 역량 강화 및 신규 파머징 시장 진출 가속화 하기 위해선 ▲선진시장으로의 접근성 강화를 위한 시스템 구축 ▲글로벌 제약사와 파트너링을 통한 성장 추진 ▲신규파머징 시장 진출을 위한 첨병해야 해야 하며, 해외 네트워킹 구축을 통한 글로벌 진출 촉매제 역할을 하기 위해선 라이센스아웃을 넘어서는 혁신신약의 허브 역할 ▲고령화 시대에 글로벌 포트폴리오 전략의 선도적 수립(항암제, 당뇨치료제 ,자가면역치료제, 치매 등)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국제단체와 소통협력을 통한 글로벌 진출 활주로 역할을 하기 위해 ▲ICH, PIC/S가입이 수출에 있어 실질적 성과로 연계되는 방안 수립 ▲IFPMA, WSMI, APAC 등 국제단체와 연게를 통한 규제조화 정책 개발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강수형 비상근 부회장도 바이오 혁신 생태계 구축, 바이오벤처와 협력을 통한 바이오신약 개발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세 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첫 번째, KPBMA Bio Open Plaza를 운영해 새로운 기초물질의 탐색 및 사업화하고 투자를 위한 바이오 혁신 생태계 소통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건강한 바오이벤처 투자를 활성화해 유망기술를  보유한 바이오벤처와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바이오신약 개발을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세 번째는 정부의 사업화 정책자금을 유치해 바오이신약 개발 초기 단개의 마중물 자금 유치에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강 부회장은 “글로벌 시장에서 개발하려면 R&D 비용이 3조 원에 든다고 하는데, 3조 원을 국내 단일 기업 중에 감당할 수 있는 곳은 없다”면서 “궁극적으로 한국 제약기업이 글로벌 시장에 서기 위해서는 국내 개발 제품이 글로벌 마켓에서 출시되지 않으면 어려우니 협회에서 주문 받아서 같이 나갈 수 있는 길을 모색하자”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