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로부터 리베이트 관련 영업정지 3개월 처분을 받은 A, B 기업이 ‘혁신형 제약기업’에서 탈락됐다.

리베이트를 장기간·고액의 리베이트 행위를 한 A기업은 ‘인증 취소’됐으며, 1회·소액의 리베이트 행위를 한 B기업은 ‘인증 자진 반납’한 것.

이에 따라 혁신형제약기업은 47곳에서 45곳으로 줄었다. 복지부는 조만간 2017년 제약산업 육성·지원 시행계획을 발표하고,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현황 고시를 조속히 개정하는 등 후속조치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해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운영되는 ‘제3기 제약산업 육성·지원 위원회(위원장 장관)’를 새로 구성하고 7일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

위원회는 특별법에 따라 향후 2년간 국내 제약산업의 체계적인 육성·지원과 발전기반 마련에 관한 주요내용을 심의·의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번 1차 회의에서는 보고안건 3건(위원회 운영실적, 혁신형 제약기업 지위변동, 제2차 제약산업 종합계획 수립방안)과 2017년 제약산업 육성·지원 시행계획’ 등 2건의 안건을 심의했다.

이날 발표된 2017년도 주요계획에 따르면 태동기 바이오의약품 R&D 집중 지원 및 부처연계형 사업 강화, 비임상 중개연구·임상연구 등 첨단의료기술 개발 R&D 지원 사업을 지난해 576억 5000만원에서 올해 622억 7800만원으로 확대됐다.

제약산업 특화지원은 지난해 60억원에서 올해 72억원으로, 바이오산업핵심기술개발 사업은 산업부에서 239억원을 개발지원한다.

중앙대·성균관대·이대 등 제약산업 특성화대학원을 통한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하고, 전주기별 체계적인 교육은 2016년 22과정 1219명에서 27과정 1420명으로 현장·실무형 제약·바이오 인력을 확대한다.

백신 글로벌 산업화 기반 구축사업단 설립(산업부 1865억원·국비 1244억), 53개의 보건의료 기술사업화 조직(TLO)을 올해 60개로 늘리고, 신속하고 예측가능한 허가심사 체계 구축에 나서기로 했다.

2018-2022년 제2차 제약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을 수립케 된다.

위원회는 이날 2017년 제약산업 육성·지원 시행계획은 ‘원안 의결’하고, 바이오의약품 개발에 필수적인 세포주 개발, 지적재산권 확보 등의 내용을 일부 보완키로 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