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정말 피임약 먹다 끊으면 임신이 잘 안되나요? 1년 동안 피임약 복용하던 사람들은 끊어도 최소 1년은 임신이 안된다고 하던데요?”

산부인과 의사를 하면서 많이 듣는 질문 중 하나다. 생각보다 많은 분께서 실제로 이렇게 믿고 계신다고 듣고 놀란 적이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실제 진행된 연구에서 피임약 복용자가 약을 끊고 난 이후 1년간 가임률은 79.4%, 2년 후 가임률은 88.3%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는 비복용자의 일반적인 가임률과 비교할 때 차이가 없는 결과였습니다. 즉 피임약을 먹었다고 해서 안 먹은 사람보다 가임률이 떨어진다는 것은 전혀 근거가 없는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번 퍼진 잘못된 상식만큼 무서운 것도 없는 것 같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경구 피임제에 대한 잘못된 편견이 생각보다 매우 넓고 또 깊은 듯합니다.

대표적으로 경구피임제를 복용할 경우 난소암, 자궁내막암 및 대장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음에도 경구피임제를 복용하면 전체적인 암 발생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것, 초기 피임제 복용 중 일시적으로 경험하는 메스꺼운 증상을 마치 피임제 복용 기간 내내 지속된다고 알려진 것, 일부 피임제에서 관찰되는 부작용인 체중 증가가 마치 전체 피임제 모두 해당되는 것처럼 잘못 알려진 것들이 있다.

이러한 잘못된 편견들이 쌓여 결과적으로 세계적으로도 값싸고 안전하고 효과적인 대표적인 피임법으로 인정받는 경구피임제 복용을 꺼리게 되는 요인일 것이다.

실제로 2006년 기준으로 각 나라의 먹는 피임약 사용률을 조사해본 결과 벨기에 42%, 뉴질랜드 40%, 프랑스 36%, 독일 29%, 영국 26% 등으로 높은데 비하여 우리나라의 피임약 복용률은 약 2%로 가장 낮은 나라다. 이는 일반인들이 피임약에 대한 잘못된 상식으로 피임약을 기피하기 때문이다.

경구 피임제는 앞에서도 말씀드린 바와 같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피임법일 뿐 아니라, 월경통 감소, 월경량 감소, 월경 전 증후군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이며, 또한 장기적으로 골다공증 예방, 자궁내막증 치료 및 갱년기 여성에서 갱년기 증상을 부가적으로 개선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유망한 치료 방법이다.

많은 분들이 경구 피임제에 대한 잘못된 상식에서 벗어나 올바른 치료를 받으시는 데 주저하지 않길 바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