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연구원 연구결과 발표

고지혈증에 대한 우리나라의 진료지침이나 처방기준이 한국인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새로운 기준의 정립이 절실한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한국인은 서양인에 비해 고콜레스테롤혈증은 적으나 고중성지방혈증의 비율이 높다”면서 “고지혈증은 민족마다 양상이 달라 각 민족에 맞는 기준설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허대석 원장은 “고지질혈증에 대하여 한국인의 특성을 반영한 진료지침 개발이 시급하다”면서 “관련 분야 근거자료의 융합을 통해 한국인의 질병양상에 대한 보다 정확한 분석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 고지혈증의 진료현황

고지혈증으로 진료받고 있는 환자수는 2009년 92만명으로, 2005년 45만5000명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했다. 그에 맞춰 진료비도 매년 20%씩 증가하고 있다.

한국인의 이상지질혈증은 고콜레스테롤혈증 10.9%, 고중성지방혈증 17.3%로 증가추세이다. 이에 비해 서양은 고콜레스테롤혈증이 16%, 고중성지방혈증이 13%(2006년 NHANES 조사자료)로 한국과 다른 유병률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 제작된 이상지질혈증에 대한 진료지침, 치료기준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보험급여기준이 서로 일치하지 않고 있으며, 한국인의 질병양상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한국형 지질저하제 처방 가이드라인’에 대한 연구를 송홍지 전문연구위원(한림의대 가정의학과 교수)을 중심으로 수행하고 관련 학술단체의 의견을 수렴하여 그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인의 지질저하제 처방양상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질저하제 처방은 최근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나, 관상동맥질환의 기왕력이 있는 사람 등을 위한 2차 예방 목적의 처방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와 관련 전문과의 경우 2차 예방을 위한 처방률이 높으나, 장기적으로 관찰했을 때 치료목표 달성이 충분하지 못하다. 대부분 초기치료약제로 스타틴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 지질저하제인 스타틴의 경우 아시아인은 백인에 비해 더 낮은 스타틴 용량으로도 비슷한 정도의 지질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약물대사적 특성이 있다.

한국형 진료지침의 개발방향

영국, 호주, 일본, 싱가폴 등 8개국의 이상지질혈증 진료지침을 평가하고 그 특성을 분석한 후, 고지혈증 치료지침 제정 위원회, 관련학회 및 진료지침 전문가들의 합의회의를 통해 5개의 핵심질문을 도출했다.

진료지침의 핵심질문은 진단기준, 위험도 평가도구의 변수 및 기준, 치료목표와 목표치, 위험군별 약물치료 시작기준 및 약물치료 추적검사항목과 시기이다.

이를 위해 장기적으로는 대규모 환자 코호트가 구축되어 대표성 있는 자료를 확보하면서, 공공기관의 보건의료 자료원을 융합하여 국민건강에 직결되는 근거들을 생성해야 한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나온 이상지질혈증 환자의 의료이용 현황과 동반질환 여부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와 연계하고, 최종 사망여부를 통계청 사망자료와 연결한다면, 국내 이상지질혈증의 질병양상에 대한 훌륭한 근거들을 효율적으로 생성해 낼 수 있다.

치료지침 개발 위한 임상연구

이상지질혈증은 유병률과 약물대사적 특성이 있어 외국연구 결과를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실제 진료와 지침 사이의 차이를 극복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양질의 임상연구를 하기 위해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