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신경정신의학회 첫 공청회

진료과목 "정신과"에 대한 개명 논의가 "환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극복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총론은 서 있으나 각론에서 입장에 따라 미묘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특히 개명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개명을 위한 논의 과정을 사회적으로 집중 부각시킴으로써 정신과 환자와 의사에 대한 뿌리깊은 오해를 바로잡는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상당한 설득력을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이사장 김용식)는 지난 3월 19일 오후 3시 가톨릭의대 401호 강의실에서 진료과목 정신과에 대한 첫 공청회를 열고 다수의 회원들이 요구하고 있는 진료과 개명에 대한 실마리를 모색했다.

이날 성가효의원의 김보연 원장은 "(신경)정신과전문과목 명칭변경 방안" 주제를 발표하고 "많은 정신과 환자, 의사, 일반인이 "정신과"라는 명칭의 삭제를 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원장은 "개명은 기존의 사회적 편견과 불이익을 개선하고 환자 및 보호자와 의사의 인권을 보호하는 데 이익이 될뿐더러 경제적으로도 사회 간접비용을 줄이고 진료를 정상화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정신과 혹은 정신의학의 정체성 상실을 우려하는 개명 반대 의견과 함께 보수와 진보, 학회와 개원의협의회, 입원실을 운영하는 병원과 외래를 위주로 하는 의원, 신경정신과 보드를 가진 의사와 정신과 보드만 가진 의사 등 다양한 주체의 내부 갈등이 있을 수 있는 만큼 그에 대한 해소 노력이 전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날 김 원장이 소개한 각종 설문조사에 따르면 88.6%의 회원이 개명에 찬성한 개원의협의회 조사는 "신경스트레스과"를 포함해서 "신경"이나 "스트레스"가 들어간 명칭을 선호하고 있었고, 87.1%의 회원들이 개명에 찬성한 학회 조사는 "정신건강의학과"나 "생활정신건강의학과"처럼 "정신"을 고수하려는 경향이 있었다.

패널로 참여한 임기영 아주의대 교수(학회 의무이사)는 "개명 논쟁의 결론을 너무 빨리 내리지 말자"고 주장했다.

임 교수는 영역 확장을 위한 개명이라면 "신경정신과" 외에 대안이 없지만, 사회적 편견을 극복하기 위한 개명이라면 개명 그 자체가 해결책이 아니라 개명까지의 과정이 해결책이기 때문에 사회ㆍ윤리적으로 논쟁을 불러일으켜 대중의 관심을 집중시켜야 한다고 단언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서동우 연구위원은 "정신과 치료가 필요한 많은 국민들이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함으로써 정신질환의 만성화나 자살, 가족의 고통, 소아청소년의 학습능력 저하, 그에 따른 의료비 상승, 국민생산성 감소 등을 개명의 주요한 근거로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자 가족을 대표한 대한정신보건가족협회 송웅달 회장은 "환자와 가족들은 정신병이라는 용어에 거부감이 크다"고 말하고 "마음건강과(관리과)" 혹은 "스트레스관리과"를 새로운 명칭으로 제안했다.

이날 공청회에는 김윤환 대한영상의학회 총무이사(고려의대)와 이충헌 KBS기자, 조정일 브랜드뷰 대표이사가 패널로 참여하여 영상의학회의 개명 경험, 언론에서 본 개명 문제, 마케팅 차원의 개명 문제 등을 다양한 의견을 개진했다.

공청회를 지켜본 신경정신과개원의협의회 이택중 회장은 "개명은 환자에 대한 인권 보호와 사회적 편견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며, 나머지 문제는 이차적인 것"이라고 말했고, 학회 김용식 이사장(서울의대)은 "명칭이 진료에 대한 접근을 막는 측면을 분명히 갖고 있다"면서 "국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차원에서 의견수렴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