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칸디다균에 의한 요로감염 비율이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는 가운데 칸디다균 요로감염의 경우 치명률이 높은 2차 혈류감염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다른 원인균에 비해 훨씬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석훈(왼쪽), 최민혁 교수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석훈(왼쪽), 최민혁 교수

연세대 강남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정석훈·최민혁 교수팀은 요로감염을 일으키는 미생물이 2차 혈류감염으로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Journal of infection> 최근호에 논문으로 발표됐다.

그에 따르면 요로감염은 흔한 감염 질환 중 하나로 요도와 방광, 요관, 전립선 등에 미생물이 침입해 염증성 반응을 유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 장내 세균에 의해 감염되나, 환자 연령, 성별 및 요로카테터 사용에 따라 다른 미생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요로감염은 보통 좋은 예후를 보이지만, 2차 혈류감염으로 진행되면 사망률이 20~40%에 달한다. 그동안 요로연관 혈류감염을 일으키는 환자 요인에 대한 분석은 있었으나, 그 원인 미생물에 대한 평가 및 분석은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연구팀은 연세대학교 의료데이터 플랫폼 SCRAP2.0을 이용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세브란스병원과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요로감염으로 진단된 84,406명의 환자 정보를 대상으로 환자의 나이성별기저질환요로기계 카테터를 포함한 치료기록 등 다양한 위험요인을 조사했다.

그 결과 대장균에 의한 요로감염 발생률의 상대적 감소와 함께, 칸디다균에 의한 요로감염은 20112.3%에서 202114.4%6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칸디다균과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요로감염은 높은 2차 혈류감염으로의 진행 및 높은 사망률과 관련이 있었다. 요로감염이 혈류감염으로 진행된 5,137명의 환자 중 65세 이상의 고령층(62.2%)과 요로기계 카테터 사용자(60.8%)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정석훈 교수는 고령화 및 환자 중증도 상승으로 요로기계 카테터의 사용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장균 이외의 미생물에 따른 요로감염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해당 원인균이 치명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는 만큼 의료현장에서의 적절한 조치 및 대처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