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선우 의원은 14일 ‘글로벌 보건의료 R&D 지원체계 현황과 이슈’ 토론회를 개최했다.

보건의료 R&D는 인류의 질환극복이라는 관점에서 글로벌 공공재로 인식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명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단장은 14일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주최한 ‘글로벌 보건의료 R&D 지원체계 현황과 이슈’ 토론회에서 이 같이 밝힌 뒤 “우리나라는 보건의료 R&D를 여러 부처에서 지원하고 있고, 대형 R&D 사업의 일몰 등으로 보건의료 R&D 사업들을 체계적으로 구조화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또 개인 연구자들에게 의존하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조직이나 기관 차원에서 글로벌 협력 플랫폼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병수 고려의대 교수는 “보건의료기본법의 기본이념인 형평과 효율 속에서 국민들의 행복하고 건강한 삶의 질 향상 구현을 위해 보건의료 R&D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중요하지만, 현장에서는 바이오헬스 R&D로 대체돼 산업적 측면만이 강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은정 과학기술기획평가원 센터장은 “코로나 19 펜더믹으로 촉발된 우리나라 보건의료 R&D 체계의 변화가 필요하다”며, “이에 따른 투자전략(포트폴리오)의 조정까지도 같이 고민을 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최형진 서울의대 교수는 “보건의료 R&D는 기초과학부터 환자 적용까지 연계된 기획 및 장기적·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한 분야”라며, “여러 부처에 분산된 거버넌스 역할을 통합해 컨트롤타워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정은영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개발과장은 “보건의료 R&D 발전을 위해서는 관계부처뿐 아니라 다양한 목소리를 듣는 것도 필요한 상황이기에 향후 산업계, 학계, 연구계, 병원계 등 현장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이겠다”고 약속했다.

토론회를 주최한 강선우 의원은 “백신 개발을 비롯한 보건의료 R&D 투자와 이에 따른 기술 진보는 우리 인류 전체의 삶에 전방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보건의료 발전을 위한 충분한 지원과 함께 보건의료 R&D 사업구조의 체계적 정비가 동반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