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험지수별 예측 사망률

심장판막 수술 후 조기 사망률을 사전에 계산할 수 있는 위험 예측법이 개발됐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원장 한광협)과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이사장 김웅한)는 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심장판막수술을 시행받은 환자에서 한국형 위험예측모델의 개발’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조기 사망 위험 예측법’은 조기 사망률(수술 후 30일 이내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인자로 만들어진 하나의 도식으로 환자의 개별 상태를 확인해 도식에 대입하면 수술 후 사망 위험 정도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을 사전에 수립할 수 있다.

연구진은 2017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전국 9개 상급 병원에서 심장판막수술을 시행받은 환자 4766명을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해 조기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인자 13개를 밝혀냈다.

이에 따르면 조기 사망률의 주요 예측인자에는 연령, 심부전 중증도(NYHA class), 수술의 긴급성, 만성질환(당뇨, 뇌혈관질환 등) 여부, 심장수술 이력, 관상동맥우회수술 동반 여부 등이었으며, 해당 여부에 따라 위험 지수가 -1~15까지 총 17단계로 나누어졌다.

특히 80세 이상의 고연령일 경우, 신장기능이 떨어질 경우, 수술이 긴급할 경우 위험 지수가 2단계씩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가장 낮은 단계에 해당하는 위험지수 ‘-1’ 단계에서는 조기 사망률이 0.3%였으며, 가장 상위단계인 위험지수 ‘15’에서는 80.6%로 매우 높게 나타나 단계가 높을수록 조기 사망위험도 함께 상승했다.

이번 연구로 개발된 ‘조기 사망 위험 예측법’은 심장판막수술에 대하여 한국 환자들을 대상으로 그 예후를 예측하는 국내 최초의 위험 예측 모델로 그 의의가 크다.

연구책임자인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 김준범 교수는 “이 예측법은 임상현장에서 개별 맞춤형 치료를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환자에게 수술의 위험성을 설명하고 동의를 얻는 데 좋은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공동 연구책임자인 보건의료연구원 김윤정 부연구위원은 “기존 해외 예측법과는 달리 심장수술의 종류를 세분화해 심장판막수술만을 위한 특성을 고려했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미가 크고, 앞으로 다른 종류의 심장수술 위험 예측법을 개발하는 데 모범적 선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