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에게 아이 발달은 가장 걱정되는 부분이다. 서지 못하거나 걸음이 느리는 행동으로 보여지는 운동 발달 지연은 눈에 보이기 때문에 바로 병원을 찾을 수 있지만 언어발달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다.

'어릴 때는 그럴 수 있다', '누구도 말이 늦었는데 지금은 잘 한다'등의 조언에 위안을 삼고 적극적인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도 흔하다. 물론 부모를 닮아 언어발달이 늦은 아이도 있지만 언어지연에는 가족력 외 여러 원인이 있어 반드시 전문적인 검사 및 치료를 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영유아는 생후 4개월부터 언어발달을 시작해 소리와 언어를 구별해낸다. 생후 6~7개월에는 소리와 목소리 톤의 변화를 알아차리고 생후 10~12개월에는 ‘안돼’, “주세요”, “안녕” 같은 부모의 의미 있는 소리에 반응을 하며, 13~18개월에는 ‘엄마’ 같은 단어를 발음하면서 어휘가 폭발적으로 늘어난다. 25개월부터는 성인 말의 60~80%를 이해하며, 하루에 8단어씩을 말할 수 있다.

언어발달 지연 징후는 아이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돌 즈음까지 엄마, 아빠 같은 단어를 말하지 못하고 옹알이만 하거나 18개월까지 말보다는 몸짓으로만 자기 의사를 표현을 하는 경우, 36개월까지 문장으로 말을 하지 못하거나 대화 상황을 지속적으로 피하려고 한다면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

이러한 발달 지연은 유전자, 뇌의 이상 등 선천적인 것이 원인일 수 있지만 양육 환경이나 부모와 아이의 잘못된 애착 형성에서도 비롯된다. 애착장애를 유발 할 만한 잘못된 양육 환경이나 가족 내 잦은 불화는 아이의 언어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아이의 언어발달을 자극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것은 ‘부부 간의 대화’이다. 보통 유튜브 등으로 교육 동영상을 보여주면 언어 자극에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하는데 강한 시각자극은 도리어 단어 인지에 방해가 될 수 있다.

사용하는 단어가 많지 않은 아이에게 영상을 장시간 보여주거나 아이에게 말을 하게 하는 등의 일방적인 자극을 주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다. 부부 간의 일상 대화를 자주, 반복적으로 들려주면 아이는 다양한 단어와 문장에 노출되어 단어를 훨씬 빨리 인지하게 된다. 아이가 지속적으로 어른의 대화에 노출되면서 관심 있는 단어와 상황을 인지하게 되고 이를 선택적으로 저장하면서 언어가 발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이가 부모의 대화 중에 끼어들거나 말 참견을 할 때 주의를 주는 것보다 자주 아이를 대화에 동참시키거나 부모의 말을 따라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언어발달에 도움이 된다.

                                                                  <강동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 이윤영 교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