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병원 이비인후과 장문영 교수>

중앙대병원 이비인후과 장문영 교수팀이 알츠하이머 치매의 위험인자로 알려진 ‘난청’의 작용 메커니즘을 규명, 관심을 모으고 있다.

장문영 교수는 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오승하 교수, 서울의대 생화학교실 묵인희 교수와 함께 난청이 알츠하이머 치매를 유발하는 분자생물학적 메커니즘을 규명한 연구 논문 ‘인지기능저하 및 해마의 시냅스 소실의 위험인자로서의 난청의 역할'을 발표했다.

장문영 교수팀은 난청 동물모델(rat)을 이용하여 난청이 인지기능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총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정상청력그룹, 정상청력에 Aβ투여그룹, 난청그룹, 난청에 Aβ투여그룹) 알츠하이머병의 원인 물질인 아밀로이드 단백질(amyloid-β, Aβ)을 투여한 후 뇌영역 특이 인지기능 검사를 시행했다.

그 결과, 난청이 있으면서 Aβ투여를 한 그룹에서만 해마(hippocampus)가 관여하는 인지기능이 다른 그룹에 비해 30~85%가량 유의하게 저하되었고, 나머지 세 그룹에서는 인지기능저하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이 그룹의 경우 나머지 세 그룹보다 뇌 영역 중 기억을 관장하는 핵심 영역인 해마의 시냅스 수치가 다른 그룹에 비해 30~40%가량 저하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연구를 통해 난청이 알츠하이머병의 위험 인자로 작용함을 보여주었으며, 난청이 해마의 시냅스를 뇌손상에 더 취약하게 만드는 기전임을 확인했다.

장문영 교수는 “나이, 가족력 등 이미 치매의 위험인자로 알려진 인자들과 달리 난청은 보청기, 인공와우 등을 통해 조절이 가능하다”며, “이는 위험인자 조절을 통해 알츠하이머 치매의 진행을 늦추고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 논문은 신경과학 분야 SCI국제저널인 '뇌행동연구(Behavioural Brain Research)'저널 온라인상에 2019년 10월호(Vol.372)에도 게재될 예정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