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환자의 재활치료 효과가 속속 드러나고 있으나 환자의 낮은 인식, 보험급여 체계 미비, 표준화된 가이드라인 부재 등으로 실제 재활에 나서는 암환자들은 6.4%에 불과하다.

특히 수술로써 암을 제거하기가 어렵거나 암 전이로 인해 완치가 불가한 암의 진행 상태인 진행성암도 재활치료를 통해 상태가 호전되는 것으로 나타나 관심을 끌고 있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원장 이영성, NECA)은 4일 진행성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재활치료 전후 보행등의 신체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한 국내 첫 연구 ‘진행성 암 환자에서 재활치료의 현황과 효과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NECA 의뢰를 받은 분당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양은주 교수(연구책임자)는 “2012년 1월1일부터 2017년 6월30일까지 암환자 331명을 대상으로 총 417 에피소드(2주 이내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발생한 모든 재활치료들의 묶음)의 재활치료 결과, 재활 후 신체기능 지수가 유의하게 상승해 상태가 호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환자들의 기능적 보행지수(FAC‧0-5점;0점은 보행이 불가한 경우, 5점은 도우미 없이 독립적으로 보행이 가능한 경우)는 재활 전 평균 2.1점에서 재활 후 평균 2.4점으로 향상됐고, 보행이 불가한 0점인 경우는 재활치료 이전 전체의 30.9%(129건)에서 재활치료 후 24.2%(101건)로 감소했다.

암환자의 신체기능 점수(cFAS)도 평균 57.8점에서 64.2점으로 재활치료를 통해 6.4점 만큼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이러한 유의성은 재활 횟수, 재활 강도 및 암의 병기 등 하위 그룹 분석에서도 동일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 연령, 진통제 사용, 뇌전이 유무가 재활치료의 기능 개선 효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연령의 경우 75세 이상 환자와 비교해 65세 미만은 3배 이상으로 연령에 의한 치료 효과 차이가 확연히 드러났다. 진통제를 사용하지 않은 환자가 사용한 환자보다, 뇌전이가 없는 환자가 있는 환자보다 모두 약 2배 정도 높은 재활치료 성공률을 보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립암센터의 암등록통계자료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맞춤형 건강정보자료를 활용한 전체 암 환자에서의 재활치료 현황도 국내 최초로 확인됐다.

지난 2011년부터 2015년까지 5년 동안 등록된 암 환자 95만892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총 6.4%(6만1059명)에 해당하는 환자만이 재활치료를 이용한 경험이 있었다. 연구팀은 재활치료에 대한 환자의 낮은 인식과 보험급여 체계의 미비, 표준화된 가이드라인 부재 등이 그 원인으로 꼽았다.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재활치료에 적극적이었으며, 암종으로는 소화기관 암환자들이 34.4%, 유방암 18.5%, 갑상선/내분비 암이 11.8% 등의 순으로 재활에 참여했다.

양은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진행성 암환자에게 신체 기능을 향상 및 유지하기 위한 목적의 재활치료가 효과가 있음을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입증한 최초의 연구로서 그 의의가 크다”면서, “앞으로 암환자들의 재활치료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 데 근거로서 활용되었으면 한다”고 기대했다.

공동 연구책임자인 NECA 조송희 부연구위원도 “해외에서는 암종별, 재활치료 종류별로 가이드라인을 수립해 그 치료효과를 향상시키고 있다”면서, “이번 연구가 한국의 암재활 연구의 시작으로 향후 활발한 논의를 위한 든든한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