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이 의료취약지에서 근무하겠습니까?”

지난 2월 보건복지부가 공공보건인력 부족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의 하나로 제시한 ‘공중보건장학생제도’에 대해 서울대병원 A교수는 “학생의 뜻이 아닌 정부의 대책”이라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 제도는 공부하는 동안 장학금(1년 2040만원)을 지원해주고 그 기간만큼 의사가 부족한 지방 공공의료기관에서 근무하게 하는 제도다. 1977년 도입, 1996년 폐지했는데 올해 다시 도입한 것.

이 제도는 언뜻 장학금도 적지 않고, 의료취약지라고 해도 지역거점인 공공의료기관서 근무하는 것이어서 조건도 나쁘지 않다.

그러나 학생들의 생각과는 거리가 있다는 것이 A교수의 지적이다. 여유있는 학생들이 많고, 혹여 가정형편이 어려운 학생이 있다손치더라도 똑똑한 그들은 ‘장학금’으로 인해 취약지 근무를 선호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여기엔 과거와는 달리 학자금 대출로도 등록금 문제는 해결할 수 있고, 의사가 된 후 충분히 갚을 수 있는 현실적 환경도 있다.

결국 복지부는 20명을 목표로한 장학생이 9명에 그치자, 모집공고를 다시 낼 수밖에 없었다.

고등학교 이전부터 1등만을 달려온 이들에게 ‘돈’으로 의료취약지 근무를 하도록 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예과에서부터 공중보건 교육을 통해 스스로 지역사회에서 사명감을 갖고 근무토록 하는 등 다양한 유인책 마련이 필요하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