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인택 보건산업정책국장은 바이오헬스산업 발전 전략과 관련, “데이터나 웨어러블은 현행법에서 어긋나지 않게 진행할 수 있는 최대치를 고민하고 또 고민했다”고 말했다.

“환자 모니터링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새로운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시장 진입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혁신제품에 대한 효과검증 R&D도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에서 원격진료로 나가는 밑그림이 아니냐는 지적이 있지만 전혀 전제하지 않았다. 바이오헬스산업 발전 10년의 전략을 준비한 것이다.”

임인택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21일 전문기자협의회와 만나 “이번 바이오헬스 산업 전략은 관계부처 협의과정에서 원격의료를 전혀 담지 않은 상태에서 마련했다”며, “데이터나 웨어러블은 현행법에서 어긋나지 않게 진행할 수 있는 최대치를 고민하고 또 고민했다”고 말했다.

특히 핵심 전략중 하나는 “데이터를 왜 못쓰게 하느냐, 어떻게 할 것이냐”는 “산업계의 요구에 해답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데이터중심병원을 소개했다.

우리나라 대형병원 한곳의 데이터는 웬만한 국가의 ‘국가데이터’와 비슷하다. 이곳에서 연구의사들이 연구해 라이센싱아웃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하겠다는 것이다.

이미 대형병원들은 관련 사업을 자체적으로 시작했고 정부가 추가로 예산 지원하고 데이터체계를 만들어 가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

데이터중심병원은 연구중심병원과 상당 부분 교집합이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 임 국장은 “연구중심병원이 2023년 사업 종료가 되는데 그동안의 노하우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가 고민”이라며, “질환중심으로 갈 수도 있고 중개연구로 갈 수도 있기 때문에 데이터중심병원은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연구중심병원 2단계 사업으로 이해하면 된다”고 했다.

데이터 중심병원은 우선 3곳 정도 지정할 계획이다. 충분히 데이터를 갖춘 곳이 대상이며, 이곳을 지원해 플랫폼을 만드는 것이 목표다.

데이터 구축 방식은 같은 방법이 아니어도 괜찮다. 정보표준화가 좋지만 이미 병원이 쌓아논 데이터로 연구가 가능하기 때문에 먼저 연구에 나서자는 입장이다. 사업은 각 병원별로 추진하지만 소속 병원간 협력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서울대병원과 분당서울대병원, 세브란스병원과 강남세브란스, 서울아산병원과 강릉아산병원 등이 해당된다.

임 국장은 “병원이 플랫폼 구축을 하는데 30억 이상 소요된다”며, “데이터를 활용하게 되면 더 많은 약의 개발, 더 좋은 의료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데 당장 수익이 나지 않아 투자가 쉽지는 않을 것”으로 봤다.

이에 임 국장은 “정부는 매칭·플랫폼을 통해 기술개발을 할 수 있게 지원하고, 데이터중심병원 부설 지원센터를 국가지원으로 만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