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정복포럼이 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명수·기동민·윤종필 의원 주최로 국회서 열렸다.<좌부터 조관호 좌장, 안기종 환자단체연합회 회장, 민태원 국민일보 기자, 박경화 고려대병원 종양혈액내과 교수, 김태현 국립암센터 방사선종양학과교수, 심순영 소아암 환우 가족>

양성자치료는 독성감소 효과, 우수한 국소제거율, 재발시 재치료 가능, 2차암 암발생 활률 저하, 소아의 방사선 치료후 뼈와 조직 성장 저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재 국립암센터, 삼성서울병원가 운영하고 있으며, 향후 세브란스병원, 원자력의학원, 계명대의료원에서 도입 예정이어서 2025년 경 되면 4대가 가동될 전망이다.

또 급성합병증의 경우 정상조직으로 가는 방사선을 줄여 피곤감을 줄이고, 치료중 활동성을 유지하며, 조혈기능을 유지시켜 항암제와 병행치료를 쉽게 할 수 있다. 만성합병증일 때는 청력·심장·폐·간·생식기능 보존, 신경인지 기능 보존, 이차암의 발생빈도 감소 효과가 있다.

이런 가운데 2007년 우리나라에 첫 도입된 양성자치료기의 10년 경험과 성과를 조망하고, 양성자치료의 개선·확산·발전 방향에 대해 전문가와 암환자들이 논의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국립암센터(원장 이은숙), 암정복추진기획단(단장 김대용),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명수 위원장, 기동민·윤종필 위원이 3일 공동 주최한 암정복포럼이 바로 그것.

‘한국 양성자치료의 10년, 현재와 미래’ 주제로 열린 포럼에서 국립암센터 김주영 교수는 ‘양성자치료의 의학·사회적 가치’ 발제를 통해 “양성자치료기 보유여부는 그 나라의 국격과도 연관이 있다”면서, “다만 한 국가에 몇 대의 양성자치료기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나라마다 환경이나 재정운영에 따라야 하기에 규정하지는 않는다”고 발표했다.

이어 일본과 독일은 입자치료의 원천기술을 많이 보유하고 있고, 일본의 경우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의 종류와 입자치료기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만18세 이하 소아종양, 방사선치료부위 재발암, 뇌·뇌기저부·척추(척수 포함)·종양(양성포함), 눈과 안면부 포함한 두경부암, 유방종양 제외한 폐·식도·종격동 등의 흉부암, 간·담도·췌장·후복막 등 복부암에 대해 급여가 인정하고 있다.

일본은 소아청소년암, 골연부종양, 인두암제외 두경부암, 전립선암을 건강보험을 인정하고, 중입자치료는 골연부종양, 인두암제외 두경부암, 전립선암에 대해 건강보험이 승인돼 있다.

김 교수는 “국립암센터는 도입 이후 지난해말까지 5만6347건 치료를 했다”며, “앞으로 입자치료는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고령화·암빈도 증가, 암생존율 높아지면서 완치와 함께 삶의 질 중요시, 의료비 보장성 확대, 입자치료 설비의 소형화·가격경쟁 등으로 대중화될 것이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양성자 치료 활성화를 위해선 환자정보와 환자전달시스템, 임상적 증거 확보, 효율적 운영과 진료체계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패널토의는 조관호 전 방사선종양학회장이 좌장을 맡은 가운데 김태현 국립암센터 방사선종양학과, 박경화 고려대병원 종양혈액내과 교수, 안기종 한국환자단체연합회장, 심순영 소아암 환우 가족이 참여해 진행됐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