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대업 회장

“전문 의약품은 공공재라는 공감대가 필요하다. 그러나 대체조제나 성분명 처방을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지난 12일 취임한 김대업 대한약사회장은 20일 보건복지부장관 예방후 전문기자협의회와 만나 “국민 이익과 약사 이익에 대한 교집합을 정책방향으로 삼겠다”면서 “약사는 약을 주문할 때 종류·재고처리·분량에 대한 결정을 하지 못하고 환자도 약에 대한 결정권이 없는데 이는 오직 의사의 처방에 따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덧붙여 “의사나 환자가 품목을 결정하지 못하는 이상 공공재로 보아야 하고, 이 부분에 대한 공감대가 필요하다”면서, “이러한 공공재 성격이 강한 의약품은 약국의 비정상적 재고나 반품문제, 카드수수료 등 사회적 책임의 분담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약학대학 신설 문제나 제네릭 관련 정책을 보면 우리나라는 비정상이라고 비판했다.

   
▲ 대한약사회 김대업 회장은 20일 박능후 보건복지부장관을 예방하고 건의문을 전달했다. 이 자리에는 박인춘·좌석훈 부회장, 이광민 정책실장이 배석했다.

우선 3개 약대 선정 발표를 봤는데 교육부가 2022년 통합 6년으로 결정해놓고 또다시 2+4라는 초소형 약대를 신설하겠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는 것. 그는 이미 이 건은 95%가 끝나고 5%가 남았다고 하는데 그래도 마지막까지 막아보겠다고 다짐했다.

제네릭에 대해선 3만개 가까운 의약품 브랜드가 있는 나라가 어디에 있느냐며, 약의 수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예를들어 최근 문제가 됐던 발사르탄의 경우 미국은 30개, 일본은 7개 정도이지만 우리나라는 500개 이상이 허가를 받았는 데 이것이 정상으로 보이냐고 되물었다.

안전상비약 품목수 확대에 대해선 “약 하나 편의점에 놓는 게 국민건강에 무슨 도움이 되겠는가”하면서 “편의점 판매는 약사회가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