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뇨발 인식개선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가 31일 국회의원 회관서 윤종필 의원 주최로 열렸다.

“당뇨발은 원인과 치료가 여러 전문영역에 걸쳐있기 때문에 창상·혈관·감염·당뇨병·신장·통증 등 전문 의료진의 협력진료가 필수적이다. 특히 당뇨병 보존을 위한 드레싱 치료가 보험급여 적용돼야 한다.”

당뇨발 인식개선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가 31일 국회의원 회관서 윤종필 의원(자유한국당·보건복지위원회) 주최로 열렸다.

남궁식 고려의대 성형외과 교수는 먼저 “세계적으로 4억2000만명의 당뇨병환자가 있으며, 이중 20%가 당뇨발이 발생하고 20초에 한명씩 발을 절단하고 있다”면서 “우리나라도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한해 10만명 이상이 당뇨발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현황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당뇨발은 당뇨병을 가진 환자의 발(하지) 부위에 나타나는 모든 문제점을 일컫는 광범위한 의미를 갖고 있다”며, “2017년 30세 이상 남성의 12.4%, 여성의 8.4%가 당뇨병을 앓고 있는데, 가장 걱정하는 것이 당뇨합병증이며, 의료비 지출도 당뇨발이 없는 당뇨병 환자보다 2.5배가 많다”고 지적했다.

신동혁 건국대병원 성형외과 교수는 ‘당뇨발의 다양한 치료법과 문제점’ 주제발표를 통해 “최신 치료제의 적극적 도입과 급여기준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당뇨발의 기전은 말초신경병증, 폐쇄성 말초동맥질환, 혈류유변학적 이상, 감염 취약성 등이다.

문제는 궤양이 발생한 후 즉, 늦게 병원을 찾는 것. 원인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가 어려워 다양한 방법이 동원하게 되고 결국 비용도 많이 든다.

이에 신 교수는 “당뇨발 감염조절을 위해선 적절한 변연절제술, 드레싱, 균배양검사 결과에 따른 적절한 전신적 항생제가 필요하다”고 밝히고 “당뇨발 보존적 치료는 기능성 드레싱, 세포치료, 성장인자치료, 고압산소치료, 오존·광선·체외충격파·전기자극치료 등이 있는데 잘 낳지 않아 자주 손이 가야 하고 재료나 인력이 많이 필요하지만 급여기준 자체가 없다”고 지적했다.

은코팅드레싱류 급여기준은 ‘은이온성분의 산균작용에 의해 창상 치유를 유도하는 은함유 드레싱체계는 화상에 한해 요양급여를 인정한다고 돼 있다. 이는 당뇨발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셈이다.

남궁식·신동혁 교수는 “치료보다 예방이 훨씬 중요하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다학제 진료환경 조성후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종필 의원은 “당뇨발은 어떻게 하면 원형을 살릴 수 있을까에 대한 것이 최근 현안이 되고 있다”며, “당뇨발을 보존해야 하는데 드레싱이 급여가 안된다는 것은 고려해야 할 부분”이라고 밝혔다.

윤 의원은 이번 토론회를 통해 최적의 방안이 도출된다면 국회에서도 적극 돕겠다고 입장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