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도인지장애 환자가 향후 치매로 전환될 위험을 미리 알 수 있다. 치매 뇌영상검사 예측 모델 개발로 치매유발물질 뇌축적을 사전에 예측 가능하게 됐다는 것이다.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원장 박도준)은 24일 “삼성서울병원 서상원 교수팀이 ‘치매환자 코호트 기반 융합 DB 및 파일럿 플랫폼 구축’연구를 통해 경도인지장애 환자 대상으로 아밀로이드 PET 검사 양성률을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는 치매 임상연구 인프라 구축 학술연구용역 사업이다.

   
 

서상원 교수팀(김시은 해운대백병원 교수)이 개발한 모델은 APOE ε4 대립유전자 유무, 임상 치매척도 영역 합산 점수 (CDR-SOB), 기억장애의 양상 (시각기억 단독손상, 언어기억 단독손상, 시각 및 언어기억 손상) 등 3가지 위험요인을 기초로 만들었으며, 아밀로이드 PET 검사 양성 확률을 79%의 정확도로 예측이 가능하다. 특히 예측모델은 도식을 이용해 진료실에서 쉽고 간단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게 특징이다.

게다가 고비용의 아밀로이드 PET 검사 양성률을 미리 예측하고 진행여부를 선별할 수 있어 의료비 절감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결과가 양성이면 향후 치매발병확률이 높아진다. 고비용 (100-150만원)의 뇌영상 검사이기에 치매가 발병되지 않은 환자에게 권하지는 않는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해 8월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CI) 환자에 대한 아밀로이드 페트 검사 양성률 예측 방법 및 장치’로 국내 특허 출원을 마쳤으며, 국제학술지인 알츠하이머병 저널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에 10월 30일자로 게재됐다.

서 교수팀은 전국 5개 병원(삼성서울병원, 가천길병원, 세브란스병원, 경희대 병원, 동아대병원)의 경도인지장애 환자 523명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했다. 그 중 삼성서울병원 237명의 데이터는 노모그램 개발을 위해, 나머지 286명의 환자 데이터는 검증을 위해 각각 분석했다.

노모그램은 아밀로이드 PET 검사 양성률을 79% 정확도로 예측했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5개 병원에서 아밀로이드 PET을 검사한 경도인지장애 환자 286명에 적용한 결과에서도 74%의 정확도를 보였다.

서상원 교수는 “환자 개개인에게 적용 가능한 아밀로이드 PET 양성률 예측모델을 만들었다는데 의의가 있다”며, “아밀로이드 PET 양성률이 높게 예측되는 환자를 선별해 검사를 진행할 수 있어 앞으로 진료·연구에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내다봤다.

질병관리본부는 “앞으로 연구자 친화적이고 개방적인 연구 인프라 구축으로, 치매 연구 활성화뿐만 아니라, 치매 진단정확성 개선, 치매 조기진단기술의 임상적용, 실용화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