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복지부 김혜선 해외의료사업지원관은 “장기전략으로 나라별 아이템을 개발하고 선택과 집중하는 방안들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는 정부가 ‘메디칼 코리아’를 앞세워 해외로 의료를 진출한 10년이 되는 해다. 크고 작은 성과가 있었지만 지금부터가 중요하다. 10년의 노하우를 토대로 향후 10년을 어떻게 해야 할지 방향을 정해나가야 한다.”
보건복지부 김혜선 해외의료사업지원관(국장)은 16일 전문기자협의회와 간담회를 갖고 우선 장기전략으로 나라별 아이템을 개발하고 선택과 집중하는 방안들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국장은 먼저 “해외 대사들이 그 나라 인사들을 만날 때 우리나라 보건의료시스템이 상위권이라는 말을 많이 듣고 의제가 되는 경우도 많았다고 전해 들었다”며, “이것만 해도 지난 10년이 헛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단기적으로는 신북방, 신남방 지역의 라이징 국가들의 상황에 맞는 보건의료시스템을 연구하면서 제약, 의료기기, 병원시스템, 의료서비스를 동반해서 패키지로 진출토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 떠오르는 신흥국들은 진출이나 유치를 하는 좋은 기반을 갖추고 있다.

무엇보다 보건의료 수출을 한다는 것은 우리나라 기반을 가지고 가는 것이기 때문에 산업발전이나 일자리 창출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김 국장은 판단하고 있다. 제약의 경우, 다른 제조업에 1억 투자했을 때 일자리 발생수치를 보면 2배 정도 된다. 경제 활력을 높이는데 큰 기여를 하는 셈이다.

그렇다고 우리나라의 앞선 ICT기반의 보건의료시스템을 그대로 그 나라에 이식하기에는 한계가 많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자카르타는 웨어러블이나 모바일을 활용하기에 시스템이 잘 작동하지만 섬 등의 낙후지역은 최고 성능을 자랑하는 기술이나 의료기기는 무용지물이다. 오히려 조금 부족한 것이 그 나라 IT환경에 적격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올해는 진출하려는 나라를 전략적으로 분석하는 기초자료를 만들 생각이다.

해외의료사업을 추진하는데 있어 인력은 매우 중요하다. 보건산업진흥원 국제의료본부에서 100% 해외의료사업을 하고 있는데 이 분야는 전문가들이 장기적으로 일할 수 있는 여건이 만들어지고, 젊은 사람들이 빨리 들어와 일을 하도록 해야 한다.

김 국장은 “보건산업진흥원과는 좀 더 역량을 가져갈 수 있도록 계속 협의를 하고 있다”며, “관련된 각종 업무들을 규합해 시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계속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또 “현장 목소리를 경청해 정책에 반영하도록 하겠다”며, “정부와 파트너가 돼 해외의료사업의 길을 넓혀 나가자”고 지원과 지지를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