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취약계층의 약화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약사의 환자 관리와 경제적인 대책 마련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2일 국회입법조사처 대회의실에서 ‘국민의 안전한 의약품 사용을 위한 안전사고 대응체계 강화 정책 세미나’가 개최됐다.

이날 연세대 약학대학 한은아 교수는 ‘취약계층 대상 의약품 사용 현황과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한 교수는 저소득 독거노인, 장애인, 이주여성 등 의약품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환경적 요인으로 정보 취약계층으로 불리며 이들은 의약품 오남용의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크다고 밝혔다.

▲ 연세대 약학대학 한은아 교수

한 교수에 따르면 미국 메디케어 관리 의료 수혜자 중 건강정보 이해력이 부족한 경우 입원율이 29%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디 케어 수혜자의 연평균 건강관리 비용은 10,688 달러인 반면 문해력 기술이 뛰어난 사람들의 연평균 비용은 2,891 달러였다.

의사소통의 부재는 의료기관에서 문진의 한계가 있고 충분한 정보를 얻지 못해 결국 의약품의 오남용으로 부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는 약화사고 예방을 위해 ▲시각장애인 전용 투약상자 개발 ▲의약품 점자표기 ▲수화그림문자 복약지도서 ▲장애인용 의약품 데이터 베이스 개발 ▲약사보수교육 강화 등을 주장했다.

그는 “시각 장애인 경우 의약품 구분과 의약품 용기 식별의 어려움이 있다”며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로 이뤄진 의약품 복용 설명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엄승인 상무

이에 대해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엄승인 상무는 취약계층을 위한 점자 의약품을 제공하고 있지만, 전문가와 보관용기들을 활용하는 방법이 유효하다는 입장이다.

엄 상무는 “의약품 70품목에 대해 점자 표시가 이뤄지고 있지만 확대할 경우 제약사의 시설 투자와 검수의 어려움이 있다"며 “장애인 경우 포 단위 조제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약사의 복약지도와 보관용기의 개발 등 활용도가 높은 방안을 접목시켜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차라리 의약사로부터 올바른 설명을 듣는 것이 빠르고, 의약품 보관 또는 전화상담 등을 통한 방법을 연구해 경제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