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상진 의원

전자의무기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해 이용하는 전자의무기록시스템(EMR: Electronic Medical Record)의 의료정보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무엇보다 EMR 인증제 도입이 시급하나 제도 정착을 위한 유인책 개발이 미흡하다는 것이다.

자유한국당 신상진 의원(보건복지위원회)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내 의료기관의 EMR 도입률이 90%를 넘었음에도 전산화된 의무기록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EMR 이용 의료기관 중에 의료기관 상호간에 진료정보를 교류하는 기관은 전체 6만4964개소 중 2만569개소로 1/3에 불과하다는 것.

뿐만 아니라 의료기관간에 진료정보 교류가 있더라도 데이터로 교류하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전화, 우편, 팩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EMR 활용이 병원 내 의무기록의 관리와 활용에만 국한돼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신 의원은 “EMR이 각 병원 특성에만 특화돼 다른 시스템과의 호환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이러한 현행 EMR 운용 실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내년 하반기 EMR 인증제 도입을 추진 중으로 지난 8월부터 시범 사업을 시작했다.

그러나 의료기관의 반응은 미온적이다. 신 의원에 따르면 EMR 인증제가 정확히 무엇인지도 잘 모를뿐더러, 도입되더라도 이를 수용할 의향이 있다는 기관이 56.7%에 불과한 실정이다.

EMR 인증제가 도입되더라도 기존에 이용하던 EMR 시스템을 두고 굳이 비용을 들여 인증받은 EMR 프로그램을 구입하거나,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할 유인 요소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신 의원은, “EMR 인증제가 필수가 아닌 권고사항이니만큼 의료기관에서 해당 제도에 대해 가장 부담스러워 하는 부분이나, EMR 인증제를 통해 얻기를 바라는 혜택 등을 면밀히 파악하여 유인책을 제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면서, “아무리 좋은 기준과 시스템을 제시해도 정작 수행기관에서 수용하지 않거나, 그럴 여력이 없어 사용할 수 없다면 정책을 시행하는 의미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