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악한 여건속에서 지역사회 안전망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했던 권역심뇌혈관센터에 대한 정부 지원예산의 지속적인 삭감과 축소로 지방의 심뇌질환 안전망이 더 이상 유지하기 어려운 것으로 우려되어, 정부차원에 새로운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대한심장학회는 11-13일 열린 제62차 추계학술대회 정책세션 ‘내가 심근경생에 걸린다면!-지역별 AMI 지역안전망 현황’에서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예산 감소와 삭감으로 지역의 심뇌질환 안전망을 더 이상 유지하지 못하게 만들고 있는 것은 필수의료에 대한 국가의 책임 방기라고 지적했다.

11개 권역심뇌혈관센터에 대한 정부 지원 예산은 2013년 126억원에서 2018년 84억원으로 5년 동안 33%가 감소했고, 내년 예산은 얼마가 될지 모르는 상황이다. 지역별로는 강원대 455, 제주대 45%, 경북대 44%가 감소하여 지역은 센터를 반납하고 없애야 할 지경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토론에서는 심근경색과 같이 적절한 응급치료가 지연됐을 경우 국민생명과 건강에 대한 영향이 큰 필수 의료에 균형적이고 안정적인 의료공급을 위하여 국가가 개입하고, 노력해야 하는 분야에 대하여 정작 정부 예산지원이 축소되고 있어 의료인력 부족과 PCI센터 사각지대가 악화되는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현재 심뇌혈관질환의 지역별 접근성 격차에 따른 심뇌혈관질환 사망률의 지역간 격차가 2배까지 지속됨에 따라 2016년 기준 급성심장정지 생존률의 지역간 격차는 7.6%로 10년 전에 비해 1.8배 증가, 지역간 격차 해소를 해소하기 위한 국가 및 지자체의 책임과 노력이 더욱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김병옥 학회 정책이사(상계백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기자간담회에서 허혈성심질환 사망률이 시도별로 2배 차이가 나는데 정부지원 예산 삭감 및 축소로 개선이 어려운 쪽으로 가고 있다고 지적했고, 배장환 충북의대 심장내과 교수는 PCI 수가가 낮은데다 지속적인 정부 지원예산 삭감에 따라 24시간 당직체계가 없어지고, 심뇌혈관센터가 지원 기피부서로 전락하는 등 2005년 상대로 돌아갈 우려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