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청은 영유아 및 어린이, 청소년의 인지능력과 두뇌발달을 저하시키고, 65세 이상 노인층의 고도 난청은 치매 발생률을 5배 높여 노인의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키는 등 고령화와 함께 큰 사회문제가 되고 있어, 생애주기에 걸쳐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청력보건법’ 제정 움직임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2018년, 난청없는 사회를 위한 시작!’ 정책토론회가 12일 오후 1시 30분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이주영 국회 부의장을 비롯한 10여명의 국회의원, 최대집 의협회장 및 박홍준 서울시의사회장, 송병호 이비인후과의사회장, 이재서 이비인후과학회 이사장, 조양선 이과학회 회장, 이승환 청각학회 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박인숙 의원 주최, 이비인후과의사회와 이비인후과학회 주관으로 개최됐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간접 및 사회비용을 제외한 연 5-8조원 난청 진료비가,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이어폰, PC방 이용 등에 따른 소음성 난청 증가, 고령화에 의한 노인성 난청 증가 등으로 향후 막대한 사회비용이 필요할 것 이라며, 국가 차원에서 적극적인 대비책을 주문했다.

정종우 울산의대 교수는 ‘건강한 청력관리정책-건강한 사회의 시작입니다’ 주제발표를 통해 난청은 학령기 아동에서 학습능력을 저하시키고, 노령층에서는 치매 발생률이 경도난청의 경우 1.8배, 중도 난청은 3배, 고도난청은 4.9배 높고 비만과도 연관이 있다는 연구보고가 있는 등 막대한 사회적 비용이 발생, 생애 전주기에 걸쳐 청력을 관리하는 국가 관리시스템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박상호 대한이비인후과의사회 정책이사는 주제발표에서 난청 환자는 2012년 27만7천명에서 2017년 34만9천명으로 연평균 4.8%씩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영유아, 어린이, 청소년의 경우 인지능력과 두뇌발달에 치명적인 결함을 초래할 수 있고, 노인의 난청은 우울증을 유발시키고 치매 발생률은 최고 5배 높아 초고령사회가 되는 2025년에는 막대한 사회적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분석했다.

박 이사는 WHO는 전세계적 난청인구 급증에 주목하고 있다며 난청의 조기진단, 예방, 치료 및 재활에 이르는 국가 주도 프로그램을 더 늦기 전에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토론에서 박무균 서울의대 교수는 전체학생의 17% 이상이 경도 이상 난청을 가지고 있고, 청소년 난청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연 4-5천억으로 추정되고 있다며, 청소년기에 순음청력검사를 포함한 주기적인 난청 선별검사와 난청 예방교육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채성원 고려의대 교수는 2012년 이후 노인인구 비율은 연펑균 0.4% 증가 하고 있으나 난청 관련 진료 실인원은 연평균 5.2%가 증가하여 기타 질환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난청 대책이 필요하다며, 2026년 초고령사회에 대비 사회적 비용 부담 경감을 위한 합리적인 ‘한국형 Healthy 2026’(가칭)의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10여명의 국회의원들은 박인숙 의원을 중심으로 ‘청력보건법’제정이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