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원협회는 최근 한의원에서 봉침을 맞은 환자가 아나필락시스에 의해 사망한 사건은 한의학의 한계를 드러낸 사건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한의사협회에서 전문의약품인 에피네프린, 항히스타민과 같은 쇼크 치료제를 사용하겠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은 의료인의 도리가 아니라고 반박했다.

협회는 봉침은 벌침에 알러지 반응이 있는 환자에게는 금기로, 사전에 알러지반응 검사가 수반되어야 하는 치료라며, 한방이라는 학문의 한계상 알러지반응에 대한 사전검사의 개념이 없고, 아나필락시스가 발생했을 때 대처할 방법이 전혀 없어 봉침과 같은 알러지유발 가능성이 있는 치료는 애초에 시행하지 말았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의사협회는 자신의 학문에 대한 한계를 인정하고 반성하기는 커녕, 오히려 이 사건을 계기로 에피네프린, 항히스타민과 같은 쇼크 치료제를 사용하겠다고 주장하고 있어 한마디로 어이가 없다고 강조했다.

협회는 동의보감에 아나필락시스에 대한 내용이 있는가? 동보보감에 에피네프린, 항히스타민이라는 치료제가 나오는가? 설령 에피네프린, 항히스타민제가 있다고 가정한다 해도, 투여용량이나 방법을 제대로 아는가? 아나필락시스가 단순히 에피네프린, 항히스타민제만 있다하여 치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등을 한의계에 반문했다.

 특히 지난 2015년 경희대 한의대 연구진은 벌에 쏘인 후 아나필락시스가 발생했을 때 북소리가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며, 북소리가 급성 쇼크사와 저혈압의 원인인 히스타민의 분비를 억제하고, 심장박동 소리와 비슷하기 때문에 교감신경계를 활성화시켜 혈압, 심장박동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고 지적했다.

 협회는 봉침에 의한 아나필락시스가 발생하여 환자에게 피해를 주었다면, 자신의 학문적 한계를 인정하고 봉침치료를 중단하는 것이 제대로 된 의료인의 자세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운 적도 없고 사용한 적도 없고, 투여용량이나 투여방법조차 모르는 에피네프린, 항히스타민제와 같은 현대의학의 의약품을 사용하겠다는 것은 환자를 마루타같은 실험대상으로 생각한다는 것이며, 또한 한방이라는 학문을 포기하겠다는 것과 다를 바 없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