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30년대,1970년대 한국인 두개강 가상 3차원 모델

 광복을 전후하여 한국인의 머리 크기와 생김새가 크게 달라졌다.

고려대 의과대학 해부학 유임주 교수가 1930년대와 1970년대에 태어난 한국인의 두개강 부피를 비교분석한 결과, 광복 이후 태어난 세대의 머리크기가 약 90ml 더 크고 생김새도 변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자기공명영상(MRI)으로 1930~1970년대에 태어난 한국인 115명의 머리를 촬영, 3차원 영상으로 재구성한 결과 이 같은 변화를 확인했다.

▲ 1930년대,1970년대 남여 두개강 부피, 높이, 너비, 길이 변화.

연구결과, 광복 이후 사회경제적 안정을 찾은 1970년에 태어난 한국인의 머리뼈 안쪽, 즉 두개강의 부피가 광복 이전인 1930년대 출생인에 비해 약 90ml 커졌으며 두개골 형태도 남자는 머리뼈 높이와 너비, 길이가 모두 커졌고 여자도 높이와 너비가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구사회에서도 산업혁명 이후 산업화, 도시화가 급격하게 진행되면서 1-2세기에 걸쳐 머리뼈의 형태학적 변화가 동반된 바 있으며 국내에서는 광복을 전후로 40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이러한 변화가 나타난 것이다.

이는 1930년대 일제강점기 시대에 태어난 한국인들이 사회적으로 억압받는 것은 물론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영양상태 부족 등으로 인해 성장발달이 지연된 반면 사회적, 경제적 안정을 찾은 1970년대는 성장에 필요한 적절한 영양을 공급받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유임주 교수

유임주 교수는 “두개강의 부피와 머리뼈로 뇌 크기를 가늠할 수 있어 체질인류학 뿐 아니라 뇌과학, 진화인류학 분야도 중요한 지표로 여겨져 왔으며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같은 한국인이라 하더라도 지리적, 환경적 원인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인 변화에 따라 머리 크기와 생김새가 변화한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라고 지적하고 “1970년대는 사회가 안정되고 경제성장을 시작하면서 적정한 영양이 공급되어 한국인의 신체적 변화도 함께 일어난 것이라고 보여진다”고 덧붙였다.

연구는 교육부 BK21플러스 사업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100년 전통의 국제학술지인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최신호에 ‘Changes in intracranial volume and cranial shape in modern Koreans over four decades’ 제목으로 게재됐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