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안암병원 순환기내과 유철웅 교수팀(정한샘, 주형준, 심재민, 박성미)이 국내 최초로 수술 후 발생한 승모판 협착증을 수술 없이 판막이식에 성공했다.

경피적 승모판막 이식술이 국내에서 실시된 적은 있지만 모두 승모판 역류증 환자 가 대상이었고 승모판 협착증 환자를 대상으로 시술에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다. 이번 성공으로 대동맥 판막 협착증뿐만 아니라 대동맥 판막 역류증, 승모판막역류증, 승모판막협착증 등에 경피적 시술이 가능하다는 점을 입증했다.

경피적 승모판막 이식술(TMVI 또는 TMVR)은 가느다란 도관을 이용해 대퇴 정맥을 통해 우심방으로 접근하고 심방중격에 인공적인 구멍을 뚫어 이를 통해 인공판막을 승모판에 넣는 시술로 매우 복잡하고 정교한 시술 기법이 필요해 세계에서도 극히 드물며 국내에서는 아직 도입단계인 최신치료법이다. 아직까지 국내에는 유철웅 교수팀 등 두 예가 성공했다.

승모판 판막이식은 현재까지 가슴을 여는 수술적 치료가 표준치료다. 그러나 고위험환자가 판막에 기능이상이 발생했을 때는 손을 쓸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수술 위험도를 측정하는 STS점수(수술후 30일내 사망가능성)이 8% 이상이면 고위험으로 분류하며 이 경우 수술적 부담이 매우 크다.

이번 시술을 통해 새 생명을 얻은 환자는 81세 고령으로 2010년 중증 승모판협착증으로 인해 승모판막 치환수술을 받았지만 수술 후에도 승모판협착증이 진행돼 결국 중증 승모판막 협착증에 폐고혈압까지 동반됐다. 2017년 경피적 승모 판막 풍선확장술을 받았으나 이후에도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의 호흡곤란이 진행됐고, 숨이 차서 도저히 잠을 잘 수 없었다.

약물로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손을 쓰지 않으면 곧 생명을 잃을 수 있지만, 환자의 저조한 컨디션, 기존 개흉수술 경험, 고령 등으로 위험요소들이 복합되어있어 재수술도 위험한 상황이었다.

유 교수팀은 국내에서 단 한 번도 시도되지 못한 승모판막 협착증에 대한 경피적 승모판막 치환술을 통해 인공판막을 삽입하기로 결정했다. 시술은 성공적으로 진행됐고 환자의 승모판막 협착증은 완전히 교정되어 건강을 회복했다.

유철웅 교수는 "경피적 판막 치환술은 개흉수술로 인한 여러 합병증을 줄일 수 있 을뿐 아니라 회복 및 일상생활로의 복귀도 훨씬 빠르고 입원기간 단축과 재발 시 재시술이 용이하다“며 "앞으로 적응증을 넓혀 수술위험도가 높아 생명을 끈을 놓아야만 하는 많은 환자들에게 희망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유철웅 교수팀은 이번 시술 뿐 아니라, 카바 수술 후 발생한 중증 대동맥판막 역류증에 대한 경피적 대동맥 판막치환술을 국내 최초로, 그리고 중증 승모판막 역류증에 대한 경피적 승모판막 치환술을 국내 두 번째, 국내 최초로 중증 승모판막 협착증에 대한 경피적 승모판막 치환술을 성공하는 등 경피적 판막치환술에서 독보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