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희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백종우 교수
가정의 달인 5월이 예상외로 우울증 환자가 급증하고 자살률이 가장 높은 달이다. 이유는 많은 이들이 느끼는 ‘행복함’에 상대적 박탈감이 급증하기 때문.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정신건강의학과를 찾은 환자의 증가추세는 암환자보다 더 많은 비율로 1위를 차지했다. 과거에는 조현병(정신분열병)이나 조울증과 같은 중증 정신질환 환자들이 주로 병원을 찾았지만, 최근에는 우울증이나 불안 장애, 불면증 등 누구나 쉽게 걸릴 수 있는 질환이 대부분이다. 
 
우울한 감정은 누구나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스스로 ‘질환’임을 인식하지 못한 채 치료에 대한 어떠한 노력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만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신체의 불편함으로 생활유지에 어려움을 겪거나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즉, 만성질환이 만성질환을 부르는 격이다.
 
정신건강의학과 백종우 교수는 “오랜 기간 동안 고통이 지속되는 만성질환의 특성을 고려해볼 때, 만성질환자는 미래에 대한 희망보다는 좌절과 시련의 감정을 느끼며 우울함을 쉽게 느끼는 환경적인 요인에 처해 있다”며 “단순히 기분이 우울해지는 현상을 넘어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자신의 탓으로 돌리거나 앞으로 계속 일이 잘 해결되지 않으리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만약 스스로가 생각하기에 우울감이 지속된다고 느낀다면, 자기만의 스트레스 해소방법(수면, 운동, 대화 등)을 시도해보자. 경증 우울증은 스스로의 노력으로 회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우울증은 환자 본인 뿐 아니라 전문 의료진에게도 반드시 포지하지 않는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 전문 의료진은 환자와의 지속적인 면담을 통해 신뢰관계를 형성하고, 경청과 공감을 통해 함께 희망을 만들어 가야 한다. 실제 중등도 이상의 우울증도 적절한 치료를 통해 2개월이면 70-80%가 호전 가능하다. 하지만 증등도 이상의 우울증은 전문 의료진의 도움이 필요하다. 
 
백종우 교수는 “진료를 보다 보면, 초기엔 아무런 변화가 없어 무의미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언젠가는 반드시 좋아질 수 있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계속해서 머리를 맞대야 한다”며 “다르더라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존중하며, 환자 스스로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