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혈액 사용량 감축을 위해 노력하는 의료기관에는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또 수혈 후에 발열 등 면역성 이상 증상 예방을 위해 백혈구를 제거한 적혈구제제는 2022년까지 전면도입하고, 2017년 48%인 성분채혈 혈소판의 공급은 2022년 60%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25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향후 5년(2018~2022)간의 ‘혈액사업 중장기 발전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먼저 중장기 혈액수급 안정을 위해 연간 헌혈량 목표관리제도를 도입하고, 헌혈교육 확산, 다회 현혈자에 대한 예우, 헌혈 인프라 확충, 희귀 혈액제제의 안정적 공급방안을 마련했다.

매년 수요량에 기반하여 혈액 자급에 필요한 적혈구 제제, 혈소판, 혈장의 연간 필요량을 정하고 지방자치단체 등과 협업을 통해 목표를 관리키로 했다.

10-20대 인구감소로 인한 헌혈부족이 예상됨에 따라 지난해 29%였던 중장년층 헌혈자 비율을 2022년 42%가 될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헌혈 나눔 문화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혈액원 견학, 헌혈 과학관․홍보관 운영을 확대하고, 헌혈의 필요성이 정규 교육과정(교과서)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정책연구도 추진할 계획이다.

다회 헌혈자에게는 빈혈검사를 통해 철분제를 제공하는 등 건강관리 서비스 지원 및 직장인의 헌혈 접근성 확대를 위해 ‘헌혈의 집’ 근무시간 및 요일 탄력근무제도를 시행키로 했다.

희귀혈액형 등록자의 가족(다문화 가정 포함)을 등록헌혈자로 연계해 검사비를 지원하고 RH(-) 혈액형 응급환자를 위한 24시간 헌혈 및 채혈 가능 시스템을 구축한다.

또한 혈액 사용량 적정 관리를 위해 헌혈부터 수혈까지 통합적 정보시스템(DB)을 구축하기로 했다.

혈액원과 의료기관의 혈액수급에 대한 통합 정보관리시스템(DB)을 구축하여, 주기적으로 분석·상호 공유 혈액의 적정사용을 유도하고 혈액정보추적율을 2017년 75%에서 2022년 99%까지 높여나갈 계획이다.

의료기관에는 안전하고 적정한 수혈을 위한 지침․활용을 권장하고 필요시 종합병원 내 규모에 따라 수혈의 안전성 및 적정성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는 수혈관리위원회를 설치하는 법안 개정을 추진한다.

또한 과도한 수혈에 따른 수혈 부작용을 줄이고, 수혈이 고려되는 환자의 수술관련 치료를 최적화해 혈액사용량이 감소될 수 있도록 ‘환자혈액관리(Patient Blood Management)’ 활성화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혈액관리료(3960원) 인정기준과 관련, 전문인력 배치에 대한 차등기준 적용으로 중소의료기관 참여를 유도하고 환자혈액관리 활성화 노력에 따라 요양급여를 차등지급 하는 등 수가를 개선할 계획이다.

예를들어 감염예방관리료를 입원환자 1일당 1950원-2870원으로 차등기준을 마련한다는 것이다.

의료기관의 수혈관련 감시체계를 확대하고, 수혈부작용 예방을 위해 백혈구 제거 적혈구 제제 등 특수혈액 제제 공급 확대 및 혈소판에 대한 세균감염 관리 강화, 의료기관 수혈에 대한 적정성 평가도 추진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강도태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이번 ‘2018~2022 혈액사업 중장기 발전계획’이 확정 발표됨에 따라 보다 더 안전하고 안정적인 혈액수급 기반마련으로 수혈 의료서비스 질 향상이 기대된다”며, “이번 중장기 사업계획이 차질 없이 시행될 수 있도록 컨트롤타워를 구성해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