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비만학회는 6일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베이스 분석을 토대로하 ‘2018 비만진료지침’을 발표했다.

새로운 ‘한국형 비만진료지침’이 나왔다.

대한비만학회(이사장 유순집, 가톨릭의대 부천성모병원 내분비내과)는 6일 열린 제48회 춘계학술대회에서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베이스를 분석, ‘2018 비만진료지침’을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된 비만진료지침은 체질량지수(BMI)에 따른 단계별 비만 진단 기준과 BMI와 허리둘레에 따른 동반질환 위험도 등을 반영해 기준을 보다 세분화한 것이 특징.

이에 따르면 체질량지수 25kg/m²이상인 경우 성인 비만으로 진단되며, 23~24.9kg/m²는 비만전단계, 29.9kg/m²까지 1단계 비만, 34.9kg/m²까지 2단계 비만, 35 kg/m²이상부터는 3단계 비만으로 진단된다.

특히 BMI와 함께 허리둘레에 따른 동반질환 위험 및 사망위험의 관련성이 확인되면서 비만전단계와 3단계 비만(고도비만)의 기준이 마련되었다는 점이 주목된다.

약 2000만 명에 이르는 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수검자의 빅데이터 분석 결과, 당뇨병·고혈압·이상지질혈증의 세 가지 질환 중 한 가지 이상을 가질 위험에 대한 분별점(Cut-off point)은 체질량지수 23kg/m²로 확인됐다.

BMI가 정상이거나 비만전단계라고 하더라도, 허리둘레가 남성은 90cm 이상, 여성은 85cm 이상일 경우 동반질환의 위험은 1단계 비만 환자와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 한국인에서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에 따른 동반질환 위험도

비만기준은 기존과 동일하지만, 3단계 비만 기준이 추가됐다. 이는 BMI 35 kg/m²이상 구획에서도 BMI 추가 증가에 따라 당뇨병 및 고혈압 등의 동반질환 발병이 증가되는 점을 반영했다.

한편 대한비만학회는 허리둘레 증가에 따른 위험을 확인하기 위해 6개 집단(남성 80cm 이상, 여성 75cm 이상, 5cm 단위)으로 나누어 심뇌혈관질환 및 사망 위험을 분석했다.

그 결과, 새로운 심근경색 및 허혈성 뇌졸중의 발생 위험도와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총사망률)이 허리둘레 증가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특히 심뇌혈관질환과 허리둘레의 관련성은 BMI 변수를 보정했을 경우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 BMI가 정상이지만 허리둘레가 늘어날 경우 총사망률도 더욱 급격하게 증가해 허리둘레가 BMI 보다 비만으로 인한 심뇌혈관질환 및 사망 위험의 더욱 명확한 예측인자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건보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해 비만으로 인한 치료 비용 연구도 진행했다. 이 날 약 50만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된 코호트 연구의 일부 결과가 발표됐다.

이에 따르면 비만 환자는 정상체중에 비해 연간 최대 50만8781원의 의료비용을 추가 지출했다.

BMI를 기준으로 3단계 비만일 경우 정상체중에 비해 14.3~50.1%의 의료비용 상승을 동반했으며,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볼 경우 정상체중에 비해 최소 2.5%에서 최대 53.3%까지 의료비용이 증가해 복부비만에 따른 추가 비용 상승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이원영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복부비만을 진단하는 허리둘레의 분별점은 인종이나 성별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고 있다”면서 “이번 연구를 통해 한국인의 실제 위험을 반영한 복부비만 기준이 확인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인에서 복부비만으로 인한 심뇌혈관질환 및 사망 위험이 예상보다 낮은 허리둘레 구간에서부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비만진단과 합병증 예방에 있어 허리둘레도 반드시 고려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순집 이사장은 “대한비만학회는 국내 비만문제 극복을 위해 다양한 기관 및 단체와 협력하고 있다. 이번 진료지침 발간 또한 지난 3년 간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협력한 성과로, 건강위험과 의료비용 증가 등 비만으로 인한 개인적·사회적 영향이 실제 데이터를 통해 확인됨에 따라 비만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제고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의료인의 정보 교류를 위한 학술단체로서의 역할과 함께 다양한 영역의 비만 관련 전문가들과의 공조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