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62회 암정복포럼이 28일 서울대 암연구소 이건희홀에서 열렸다.

“고가항암제는 일부를 제외하면 대부분 엄청난 가격에도 불구하고 짧은 생명연장에 불과하다. 비용효과적인 문제가 발생하며, 특히 경제력이 없는 개도국 환자들은 구입할 수 없는 현실을 감안한 정책이 필요하다.”

28일 서울대 암연구소 이건희홀에서 열린 제62회 암정복포럼은 현재의 고가항암제 가격은 여전히 높아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료인 참석자들의 목소리가 높았다.

먼저 김흥태 보건복지부 암정복추진기획단 단장(국립암센터)은 ‘고가의 항암신약 약가는 과연 적정한가’발제를 통해 “고가약은 적정수가를 기반으로 적정부담-적정급여 체계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효과가 있는 유일한 약은 환자들이 지불가능한 약”이라고 주장했다.

김 단장은 이날 “고가의 항암제는 특별한 대책이 필요한 전세계적 이슈”라면서 “최근 10년간 새로 허가된 14개의 항암제는 생존기간 연장이 1.2개월에 불과하고, 2002-2014년 허가된 48개 항암제는 2.1개월 생명연장에 불과했다”고 밝혔다.

이어 “고가항암제 시장은 현재 1000억달러에서 3년후인 2020년엔 1500억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전체 암치료비용은 26% 늘지만 이중 항암제는 50%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한달에 1만 달러까지 해당돼 1인당 국민소득을 감안하면 개발도상국에선 구입할 수 없다는 것이 김 단장의 판단인 셈이다.

금액도 글로벌항암제 가격도 가격 변동성이 28-388%까지 차이가 있다. 김 단장은 각종 자료를 근거로 “항암제 가격이 높은 이유로 신약개발 1건에 26억달러가 드는 R&D지출 비용, 주주이익 감안, 마케팅 비용 등을 제시하고 있지만 높은 실패율을 감안해도 과다하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특허기간 14.3년에서 10년으로 단축, 제네릭과 바이오시밀러 약물의 신속승인, 의약품 가격 투명성법 등을 통해 가격을 낮추려는 노력이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대호 울산의대 종양내과 교수도 ‘국내외 항암신약 약가현황과 논쟁’을 통해 높은 가격에 대한 신중한 접근을 주장했다.

그는 “2010년대에는 3년 정도 걸리던 허가가 최근 2년으로 짧아졌고 급여는 몇 개 안된다”면서, “주로허가되는 것은 약값이 월 500만원 정도 미만으로, 그 이상은 허가를 안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재정과 효능에 검증이 안됐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이어 항암제는 발전속도가 매우 빠르고, 일부는 장기생존자도 있어 새로운 항암제가 등장하면 환자 입장에서는 희망을 갖게 되는데 효과를 보면 걱정과 실망, 다시 희망이 더 커는 상황이 계속되고 잇다고 전했다.

효과가 기대만큼은 아니고 감당할수 있는 비용도 아닌 경우가 많지만, 가능성을 갖게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환자는 또 기대하게 된다는 것이다.

문제는 고령사회, 초고령사회가 되면 암환자 크게 늘게 되는데 이 경우에 대한 대책이다. 재정이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하지만 급속한 의료기술발전에 따른 보다 많은, 효과적인, 새로운 항암치료제의 등장에 대해 무조건 깎을 수만은 없고, 무조건 깎으라고 하는 것은 수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교수는 적극적이면서도 정교하게 다듬은 위험분담제를 도입하거나 별도기금제도 운영 등 완충지대를 만드는 것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김윤 서울의대 교수는 “무조건 비용절감이 아닌 가치를 논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암 진료비를 절감하기 위해선 ”제도의 변화보다는 종양내과의사들의 결정이 더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전체 1/3정도가 낭비적 요인으로 추정할 수 있는데 이를 줄이면 고가항암제를 급여할 수 있는 폭도 늘어날 수 있을 것이란 주장이다.

특히 △의사-환자 의사소통, 제도개선을 통해 할 수 있는 것 △해야하는 것과 하지말아야할 것에 대한 비용 의식 △항암제 치료에 대한 현실적 기대 △정서적지지(정신과 상담, 호스피스 등) △비용효과성에 관심 갖고 의사 결정 등을 강조했다.

허대석 서울대병원 내과 교수는 “항암제도 필수의료에 대해선 급여화 하고 고가항암제가 옵션인 경우에는 품목허가와 의료기술평가를 통해 결정하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허 교수는 항암신약 급여의 합리적인 결정을 위해선 △의료자원 분배의 공정성(경험의 레벌, 경제성평가, 정책투명성) △의료진의 전문성을 고려한 적용 △재평가 등을 제안했다.

한편 안기종 환자단체연합회 회장은 “최근 주위에서 항암제 투여후 몇 개월 몇 년 살고 있는 환자들이 많다”면서 “발표자들이 항암제 투여로 생명연장이 2개월, 몇주에 불과하다고 발표한 것을 신뢰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 제62회 암정복포럼 패널 토의에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이상무 위원, 한국 암치료 보장성확대 협력단 임영혁 대표,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안기종 대표, 데일리팜 최은택 기자,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 김옥연 회장<좌로부터>이 참여했다.

패널 토의에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이상무 위원, 한국 암치료 보장성확대 협력단 임영혁 대표,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안기종 대표, 데일리팜 최은택 기자,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 김옥연 회장 등이 참여했다.

재정독성(Financial Toxicity)은 고가항암제 시대에 항암치료를 받는 암환자가 겪는 재정적 문제를 항암제의 물리적 독성에 비유한 용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