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덕원 교수

만성적인 피로와 수면장애를 초래하는 ‘코골이’가 뼈 건강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

연세의대 김덕원 교수팀(의학공학)은 국내 중년 이상 여성에게 초래될 수 있는 다양한 골절위험 요소 중 코골이가 깊은 연관성이 있음을 역학조사를 통해 규명했다.

김 교수팀은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KHGS)의 10년 간(2001~2011년) 40세 이상 6189명(남성 2969명/여성 3220명)을 분석했다.

먼저 골절을 야기하는 다양한 위험요소로 연령, 신장, 허리둘레, 흡연, 음주력, 비만지수(BMI), 고혈압, 당뇨, 류마티스 관절염, 골다공증 치료경험 등 외에 생활습관으로서 ‘심한(중증) 코골이’ 요소를 추가해 골절과의 상관성을 살폈다.

심한 코골이의 기준은 ‘옆방에서 들릴 정도의 큰소리 또는 일주일에 6-7회 이상 코골리 경험’으로 했다.

골절은 ‘걷거나 일상생활을 영위하다 미끄러 지거나 넘어진 경우’로 한정했다.

분석 결과 조사 기간 중 남성 129명과 여성 273명이 골절상을 입었다. 40세 이상의 여성의 경우 위험 요소별 골절 위험 상관율은 ‘골다공증 약물치료 경험’이 있을 경우 1.86배 높아지고, 본인이 골다공증이 있거나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 가족력이 있을 경우 1.66배, 류마티스 관절염을 갖고 있을 경우 1.55배 높아졌다.

또 고령의 나이 및 큰 엉덩이 둘레와 작은 키의 위험 요소가 골절 상을 입을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0세 이상 여성의 경우 정상 인구집단에 비해 1.68배 골절 위험도가 높았으나 남성은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김덕원 교수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 지속되면 충분한 산소를 흡입하지 못해 혈액내 정상 산도(ph 7.35-7.45)가 낮아지는 산성화로 골밀도 저하를 초래하는 것으로 설명했다.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이유미 교수도 “폐경기 이후 여성 중 자신이 심한 코골이가 있다면 수면무호흡과 동반된 골대사의 부정적인 영향과 낮 동안의 집중력 등의 저하로 골절의 위험도가 높아질 수 있어 뼈 건강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 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의학지인 ‘BioMed Central(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