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재헌(좌)허양임(우) 교수

 우리 아이가 비만인지 알아볼 수 있는 간단한 계산법으로 허리둘레를 키로 나눈 값(허리둘레/신장비)이 0.47 이상이면 비만으로 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인제대 서울백병원 비만센터 강재헌·허양임 교수팀은 지난 2010~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0세 이상 19세 미만 소아·청소년 3057명(남아 1625명, 여아 1432명)을 대상으로 분석, 이 같은 결론을 내렸다.

예를 들어 중학교 1학년 학생의 키가 145cm, 허리둘레가 70cm로 가정해 계산하면 <70÷145=0.482> 0.47보다 크므로 이 아이는 비만이다.

통상 신체지표를 이용한 비만 예측은 BMI(체질량지수)로 측정한다. BMI 계산은 <체중(kg)÷(신장m x 신장m)>. 그 수치가 18.5 미만일 때 저체중, 18.5~23일때 정상체중, 23~25 일 때 과체중, 25~30일 때를 경도비만, 30 이상인 경우 고도비만으로 본다.

하지만 BMI 측정은 계산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위의 비만 기준은 성인에게만 해당하는 지표로 소아·청소년의 경우 체질량지수를 구하고 나이와 성별에 따른 표준성장도표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므로 사실상 부모가 비만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기 어렵다.

허리둘레/신장비(허리둘레÷키)는 소아·청소년의 나이와 성별과 관계없이 비만 선별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허양임 교수는 “성인과는 달리 소아·청소년에서는 인종에 따른 성별, 연령별 BMI의 백분위 수를 참조해 비만여부를 판단하므로 진료 시 쉽게 활용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일반인이 비만 여부를 쉽게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며 “허리둘레/신장비 계산법은 대규모 역학조사나, 임상 진료 현장에서 소아·청소년의 비만 위험을 선별하는데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소아·청소년의 대사증후군 위험 선별 값도 확인했다. 같은 방법으로 계산한 결과가 남아의 경우 0.44, 여아의 경우 0.43 이상일 경우 대사증후군을 의심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사증후군 선별 값은 비만을 제외한 혈압, 혈당,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의 기준치를 벗어난 경우로 대사증후군 발병의 예측지표다. 이번 계산법에서 나온 선별 값을 소아·청소년의 BMI 지표를 이용한 대사증후군 예측 방법과 선별검사로서의 유용성을 비교해 보았을 때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결과를 보여 유용성도 입증됐다.

허양임 교수는 “좋은 선별검사 방법은 선별검사로서 예측성이 높아야 할 뿐 아니라 검사와 해석이 쉬워야 한다”며 “이번 연구는 국가의 공식적인 최신 데이터로 얻은 예측값으로 소아·청소년의 비만과 대사증후군을 선별하는데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임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강재헌 교수는 “허리둘레/신장비 측정은 1990년 중반을 기점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되는 계산법으로 보통 0.5 이상인 경우 비만과 심혈관 대사질환 위험군으로 선별한다”며 “성인과 소아 모두 키의 절반 미만으로 허리둘레를 유지하는 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영양학회지 뉴트리언츠(Nutrients)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