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철우,정병하 교수(좌측부터).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 도입 후 7년간 한국 신장이식을 조사한 대규모 연구결과 부부(夫婦)이식이 증가하고 이식 후 치료 효과도 혈액형 적합부부이식과 비교하여도 차이가 없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 양철우·정병하 교수팀은 우리나라 신장이식 환자 데이터 베이스(KOTRY) 및 보건복지부 장기이식관리센터 KONOS 자료를 이용하여 혈액형 부적합이식이 시행된 2007년부터 2014년까지 7년간 3,035건의 생체신장이식을 조사, 부부이식의 증가율과 혈액형 적합·부적합 부부이식의 이식성적을 비교했다.

혈액형 부적합 이식 비율은 부적합 이식을 도입한 2007년에는 0.3%였으나 2014년에 21.7%로 늘어났다. 부부이식은 2003년 전체 생체신장이식의 10%였으나 혈액형 부적합 이식이후 매년 급속도로 증가하여 2014년 31.5%까지 증가했다.

부부이식이 77.6%로 비혈연간 신장이식중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이중 혈액형 부적합이식비율은 20.9%로 혈연간 혈액형 부적합이식 9.8%보다 두 배 높았다. 이는 5건의 부부이식 중 1건은 혈액형 부적합 이식을 받은 다는 것으로 혈액형 부적합 이식이 도입된 후 부부이식이 다른 생체이식에 비해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 혈액형 부적합 부부이식의 주요 성적을 혈액형 적합 부부이식과 비교한 결과 급성거부반응 발생율(23.9% vs. 15.8%), 이식신장 생존율(3년 생존율: 96.4% vs. 96.7%), 이식 환자 생존율(3년 생존율: 95.7 vs. 98.2%)로 모두 차이가 없이 우수했다.

장기이식센터장 양철우 교수(신장내과)는 “부부간 혈액형 부적합이식은 조직형과 혈액형의 두 가지 부적합을 극복해야하는 이식술이지만 이제는 보편화된 이식술로 자리 잡았으며,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이식수준이 세계적인 수준에 도달하였다는 것은 학문적으로 입증하였다”며 “우리나라에서 부부간 이식이 늘었다는 점에서 사회가 건강하다는 한 단면을 보는 것 같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궁극적으로는 공여의사가 있었어도 혈액형 부적합으로 이식을 할 수 없었던 많은 배우자들에게 신장을 공여할 수 있는 기회가 가능하게 되었다”고 강조했다.

이번 임상연구결과는 SCI 논문인 PLOS ONE 3월호에 게재됐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