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정밀의료 시대 도래에 발맞춰 정밀의료 코호트·플랫폼 구축 등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방문규 보건복지부 차관은 7일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한-미 정밀의료 심포지엄’에서 “정밀의료는 개인 특성에 맞는 진단과 치료 등을 제공하는 것으로 미래의학의 핵심적 수단이다”라며 “정밀의료 프로젝트가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해 내년도 예산에 반영된다. 내년부터 정밀의료의 주요한 분야 사업을 추진해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요 선진국에서도 정밀의료를 미래 의료의 전략분야로 인식하고 국가 차원에서 적극적 투자를 나서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도 세계적 수준의 의료와 IT 기술 관련 인프라 등 장점을 활용해 추진할 예정이다.

방 차관은 “한국은 정밀의료의 가장 중요한 자원인 유전체 정보를 아시아 최대 규모로 보유하고 있다”며 “보건복지부는 의료분야 장점을 적극 활용해 정밀의료를 실현하고, 국가 보건의료서비스를 업그레이드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정밀의료 코호트 구축 및 관리 ▲정밀의료 표준화 도입 및 개발 ▲정밀의료 자원연계 플랫폼 마련 ▲빅데이터 기반, 정밀의료 지원을 위한 ICT 인프라 구축 등 기술기반부터 조성한다.

▲ 이동욱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
발표에 나선 이동욱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현재 한국은 정밀의료 시행을 위한 글로벌 표준에 맞는 연구자원이 없다”며 “현재 보유하고 있는 건강보험, 건강검진 데이터 등 기존 연구자원을 최대한 활용해 일반인 최소 10만 명으로 코호트를 구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주요 3대 진행성 암(폐암, 위암, 대장암) 환자 1만 명 유전체 정보를 확보해 맞춤형 암 진단·치료법, 항암제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선다.

이 국장은 “연간 2천 명씩 5년에 걸쳐 암 환자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해 암 진단과 치료법을 개발하고 민간주도 항암제 개발을 위한 유전체 정보를 개방할 것”이라며 “아울러 만성질환 대응을 위해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첨단 모바일 기기 개발을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정밀의료 사업을 순조롭게 진행하기 위해 관련 법과 제도를 정비하고, 유전체분야 등의 전문 인력도 양성할 계획이다.

이동욱 국장은 “종합적 지원체계 구축을 위해 내년에 ‘정밀의료 발전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며 자원통합 및 표준화를 꾀할 것”이라면서 “또한 유전체 의학, 바이오 인포매틱스 등 전문가를 2021년까지 1천명 양성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심포지엄은 작년 10월 한·미 양국 간 정밀의료연구 협력의향서 체결에 따른 후속조치 일환으로 마련됐으며, 美 대통령 선거 이후 보건 분야에 있어 최초의 한·미간 정책교류를 위한 자리다. 국내·외 정밀의료 전문가 14명이 분야별 주제발표 등을 통해 양국의 정밀의료 추진상황을 공유하고, 공동연구 등 협력방안을 논의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