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관수 이사장

C형 간염을 국가검진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지적이다. 일찍 치료하는 것은 가성비가 좋다는 의견이다. 조기에 발견하지 않을 경우 결국 간경화나 간암으로 진행되면 국가 보험재정에도 나쁜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지적이다.

대한간학회 변관수 이사장(고려대 구로병원)은 2일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C형 간염의 국가검진 포함여부와 관련 궁극적으로는 보험재정 절감이라는 보험정책과도 맞는 정책이라며 국가검진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변관수 이사장은 특히 지난달 열린 추계학술대회에서 ‘국내 간염관리대책 개선방안’이라는 국책과제의 중간발표를 통해서도 이 같은 문제점이 그대로 드러났다고 강조하고 “C형간염 국가검진의 경우 정부는 예산이 많이 들기 때문에 일단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선별검사 스크리닝 등을 제안하고 있지만 고위험군 선별검사는 외국에서 실시한 결과 부정적인 의견이 도출된 만큼 실패한 정책을 우리가 다시 시도한다는 것은 더욱 큰 문제를 야기할 것”이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현재 미국은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많은 문제가 발생함으로서 베이비부머 시대에 태어난 사람 모두를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일본도 전 국민을 대상으로 스크리닝 검사를 실시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예산문제에 발목이 잡혀 제대로 된 정책을 하지도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일부에서 시범사업을 먼저 실시하자는 의견도 제시하고 있으나 그럴 경우 또다시 시기를 놓칠 수 있어 전체적으로 국가검진에 포함시키는 것이 맞다는 것이 학계의 주장이다.

변관수 이사장은 C형간염 약값과 관련 “개념에 따라 다르다”는 주장이다. “C형간염치료는 현금으로 집 사는 것이고 B형간염은 매달 조금씩 평생 모아 집을 사는 것과 같은 개념”이라며 “B형간염은 오래동안 약값이 많이 나가는 것이고 C형간염은 3달 치료로 완치되기 때문에 그런 얘기 나오는 것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C형간염은 본인이 내는 것이 30%로 약값은 한달에 최고 700만원에서 200-300만원으로 3달 치료할 경우 최고 2천만원에서 800만원 정도가 소요된다. 그러나 WHO는 C형간염을 2030년 맞춰 퇴치시키겠다는 정책을 펴고 있어 이 기준에 맞추면 초기비용이 들더라도 지금 실시해야 하며 치료안하고 방치하면 간경화나 간암으로 진행되면 최종적인 치료비는 더 많이 소요될 것이기 때문에 일찍 치료하는 것이 가성비가 좋다는 설명이다.

C형간염 치료제 급여와 관련, 변 이사장은 “간경화 환자 치료기간의 경우 만성간염 12주, 간경화는 최소 16주에서 24주를 치료하는데 그동안 12주로 묶여 있었지만 이젠 16주로 보험기간이 길어져 어느정도 해결됐다”며 “내년에 신약은 아니지만 외국에서는 사용하고 있는 C형간염 치료제가 2개 정도 국내로 들어올 예정이며 이미 하나는 지난 달 식약처 허가를 받았다.”고 밝히고 학회 차원에서 내년에는 C형간염 진료가이드라인을 일부라도 개정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