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대중 당뇨병학회 홍보이사

국내 당뇨병 인구가 천만 시대에 들어섬에 따라 이들이 당뇨병 치료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교육’이 필수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당뇨병학회, 한국당뇨협회, 한국소아당뇨인협회 등 관련 단체는 1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집중관리가 필요한 당뇨병 환자에 대한 교육상담의 중요성’이라는 주제로 국회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 날 주제발표를 맡은 김대중 당뇨병학회 홍보이사(아주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는 "당뇨병은 혈당 관리 등 꾸준한 관리와 정기적 상담이 필요하지만 이를 체계적으로 받고 있는 치료자는 16.8%에 불과하다"며 "당뇨병 연도별 진료비는 약 1조 8천억원에 달하고 있으며 이런 상황에서는 2조, 3조에 이를지도 모른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 65세 이상 성인 3명 중 1명은 당뇨병 환자이며, 연령에 따라 당뇨병이 증가하고 있지만 교육은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 외국의 경우 당뇨병 교육을 통해 의료비용 절감효과를 이뤄내고 있다. 미국은 교육 경험이 없는 환자에 비해 영양교육을 포함한 체계적인 교육을 경험한 환자들의 진료비가 절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 이사는 "당뇨병 환자에게는 교육 자체가 치료 행위이며, 어쩌면 약물보다 더 중요한 치료 행위"라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교육'이다. 환자에게 얼마나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느냐에 따라 당뇨병 환자들의 치료 결과도 달라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류옥현 교수(한림의대)도 당뇨병 환자에게 ‘교육’은 운명을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것이라며, 국가-의사-환자의 당뇨병 교육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류 교수는 "환자들이 지식·인식 부족하지만 의료진도 시간이 부족하다. 특히 의료진의 경우 교육에 대한 보상이 없어 당뇨병 관리 현황이 개선되기 어렵다"며 "국가의 제도적 지원 없이는 극복하기 어려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정부가 나서 집중관리가 필요한 당뇨병환자에 대한 개별화된 맞춤형 교육상담 급여화, 교육상담 지원체계 구축을 해야 한다는 것.
 
류 교수는 "현재 정부가 인슐린 주사 맞는 환자를 대상으로 소모성 재료 지원사업을 하고 있는데, 호응도가 높다"며 "교육상담료 급여화를 통해 교육 장벽을 낮추고 의료진도 적극적으로 교육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교육내용 표준화와 함께 부족한 교육상담 인력 충원을 위한 교육자 양성 주체, 교육자 자격 등을 논의해 전문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도 교육 상담료 신설에 긍정적으로 검토 중이며, 점차 급여화 해나간다는 입장이다.
 
정통령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정책국 보험급여과장은 "우리나라의 경우 주로 질병 치료를 중심으로 하다 보니 예방·교육을 건강보험에서 많이 다루지 못한 것은 사실"이라면서 "만성질환은 병원에서 상담하고 진료 받는 시간보다 자가 관리 해야 할 시간이 더 많고 병에 큰 요인이 되기 때문에 급여화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정 과장은 "교육 상담료·환자 평가·환자 질병에 관한 계획 수립 등 그동안 기본진찰료에서 다뤄지기 어려웠던 부분의 수가를 신설할 것"이라며 "학회·협회 등 관련 단체도 표준화된 매뉴얼·교육상담 질 관리 등을 위해 노력해달라"고 덧붙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저작권자 © 메드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